Q. 'ESG'에 대해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세 가지 요소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기업이나 투자 관련 결정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회적 및 환경적 요소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1) 환경(Environment): 기업의 환경 영향을 평가합니다. 이는 탄소 배출량, 에너지 사용, 자원 관리, 환경 친화적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등을 포함합니다.2) 사회 (Social):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영향을 평가합니다. 이는 노동자 권리, 인권, 사회적 다양성, 안전 및 노동 조건, 고객 관리 등을 포함합니다.3) 지배구조 (Governance): 기업의 경영 및 지배 구조를 평가합니다. 이는 경영진의 투명성, 윤리적 행동, 이사회 구성, 회계 투명성 등을 고려합니다.
Q. 경제기사마다 브릭스가 자주 나오는데 브릭스 어떤 이유로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브릭스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네 가지 신흥국으로 구성된 경제 협력 그룹입니다. 이 그룹은 주로 글로벌 경제에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이러한 국가들의 공동 이익과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브릭스 국가들은 인구가 많고 경제 크기가 큰 특성을 가지며, 글로벌 경제에서 더 큰 역할을 수행하고자 합니다. 이들 국가는 브릭스를 통해 상호 협력을 강화하여 글로벌 경제 무대에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Q. 미국 국채 금리가 계속해서 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 한 이유에는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1) 일본의 긴축: 일본의 YCC 정책의 상단은 0.5%에서 1.0%로 변경하였는데, 그 동안 저금리인 일본 자금으로 미국 국채에 투자해왔는데, 이렇게 되면 해당 자금들이 일본으로 돌아로게 되면서, 미국 국채의 매도(공급)이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2) 미국 신용 등급 강등: 지난달 피치에서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낮췄습니다. 신용등급이 낮아지면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3) 미국 재무부 국채 대량 발행 계획 발표: 미국은 IRA 등 대규모 경기 부양 정책을 실행 중인데, 이를 위해서 국채를 대량으로 발행하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나, 그동안 주요 매수자 였던 중국과의 갈등으로 인하여 수요가 부족한 상황입니다. 이렇게 되면 채권의 공급 과잉으로 인하여 금리가 상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