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전자산이란 어떤 자산을 의미하나요?
우선 안전 자산은 시장 상황 변화에도 가치가 크게 변동하지 않고, 투자 원금의 손실 위험이 낮으며, 높은 수익률은 아니지만 안정적인 수익 제공하는 자산입니다. 또한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포트폴리오의 전반적인 위험을 낮춘 자산이라 하겠습니다. 종류에는 예금, 머니 마켓 펀드, 단기 국채,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 신용 등급이 높은 기업이 발행한 채권, 미국 달러, 스위스 프랑 등 안정적인 통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가치 상승 기대되는 부동산, 그리고 채권과 주식을 혼합한 특정 ETF(주식과 채권의 3:7) 정도입니다. 안전 자산은 위험 자산에 비해 수익률이 낮을 수 있지만,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고 위험을 분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Q. 중계형 ISA 계좌의 장점과 단점은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중개형 ISA 계좌의 장점으로는 배당소득이 비과세 된다는 점입니다. 배당소득의 200만원까지 비과세 가능합니다. 그리고 투자상의 손실과 이익을 발생하면 이익에서 손실을 차감하여 세금을 부담합니다.그리고 배당소득액 200만원이 초과되면 9.9%의 분리과세 저율로 과세가 적용되는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연간 2천만 원, 총 1억 원의 납입 한도가 있어 대규모 투자자에게는 제약이 될 수 있고, 해외 증시에 상장된 개별 주식에 직접 투자할 수 없고, ETF에 한정하여 투자가 가능합니다. 3년 간의 의무 가입 기간이 있어, 이 기간 동안에는 투자 수익금을 출금할 수 없습니다.ISA 계좌의 세제 혜택을 요약하면 비과세 혜택, 저율과세, 과세 유예, 분리과세의 혜택이 있다하겠습니다.
주식·가상화폐
Q. 갑자기 코인들이 급락하기시작한건 트럼프 지지율떄문인가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어제의 하락은 터더에 대한 미검찰의 조사가 있다는 보도 때문이었고,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이 주 원인이었습니다. 코인에 대한 규제, 중동 정세의 악화가 주원인이었습니다.테더의 측에서는 조사에 대하여 부인하고 있고, 이스라엘의 이란공격에 대해서는 특별히 더 악화되지 않고 있어서 그런지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다시 회복되고 있습니다.
Q. 경제학에서 말하는 수요와 공급의 원리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쉽게 설명하면, 수요는 사람들이 물건을 사고 싶어하는 것입니다. 보통 물건 값이 싸면 더 많이 사고, 비싸면 덜 삽니다. 공급의 경우는 판매자들이 물건을 팔고 싶어하는 것입니다. 보통 물건 값이 비싸면 더 많이 팔고, 싸면 덜 팝니다.그래서 이런 수요과 공급에서 균형 가격이 생기는데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이 모두 만족하는 가격이고 이 가격에서 물건이 잘 팔리고 잘 사집니다.아이스크림 가게를 예로 들어보면 더운 여름날, 사람들은 아이스크림을 많이 사고 싶어합니다 (수요 증가).가게 주인은 이를 알고 더 많은 아이스크림을 준비합니다 (공급 증가).하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면 사람들이 덜 살 것이고, 너무 싸면 가게 주인이 손해를 볼 것입니다. 결국 적당한 가격에서 사람들도 만족하고 가게 주인도 만족하게 됩니다 (균형 가격).이렇게 수요와 공급이 만나 가격이 정해지고, 이 과정이 시장 전체에서 일어나는 것이 수요와 공급의 원리입니다.
주식·가상화폐
Q. 어제 갑자기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들이 급락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2가지 이유가 있었는데, 하나는 테더조사, 중동의 전쟁(이라스엘의 이란 공격) 때문입니다.믹구 검찰이 터더를 조사중이라는 보도와 중동의 긴장이 겹치며 비트코인등 기상자산 가격이 급락하여 3억 8000만 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하였습니다. 미 검찰은 테더가 불법 활동에 이용되고 있을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는 보도나왔지만 테더측에서는 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이란공격이 이미 예상했던 부분이지만 실제적으로 타격이 가해지자 코인의 가격이 급락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을 중심으로 점차 회복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