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이 1조 70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이 2025년 7~9월 약 1조 7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하는 이유는 재정 적자를 충당하기 위해서입니다. 관세 수입이 증가하더라도, 정부 지출이 세수보다 훨씬 커 적자를 메우기 위해 차입이 필요합니다. 2025년 6월 기준 국가 부채는 약 37조달러로,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국채 발행은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조달해 재정 운영과 부채 상환을 유지하며, 외국 투자자(일본, 중국 등)의 수요로 달러 가치도 안정시키에 발행하지만 실질적으로 매년 증가하는 예산과 이자감당을 위해서 입니다. 미국부채 37조원 = 원화기준 5경 1,800조원입니다. 상상하기 어려운 부채입니다.이자비용는 약 1600조원으로 미국 GDP의 4%를 이자로 내고 있습니다. 미국 부채이자 비용만을 비교하면 우리나라 GDP의 62%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GDP의 62%를 이자로만 나가고 있는 것인 지금 미국의 현실입니다.
Q. 이더리움이 4000달러를 돌파하게 만든 호재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이더리움이 4,000달러를 돌파한 주요 호재로는.....첫째, 덴쿤(Dencun) 업그레이드로 네트워크 속도와 비용 효율성이 개선되며 수요가 증가했고,둘째, 비트코인 ETF 승인 이후 이더리움 ETF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셋째, 비트마인 등 주요 기업의 ETH 축적(3백만 ETH 이상 보유)과 블랙록, 로빈후드의 실물자산 토큰화 확대로 기관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강세와 비트코인 상승세가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참고로 8월 8일 ETH는 4,047달러까지 치솟으며 단기 저점($3,350)에서 약 20% 상승했습니다.
Q. 바이낸스에서 USDT로 자녀에게 차용해주기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굳이 USDT 자녀 차용의 의도를 알 수 없지만,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을 USDT로 바꿔 자녀에게 차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USDT는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으로, 디지털 자산으로서 차용 계약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법적으로 현금과 동일하게 인정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용증 작성 시 원화 환산액과 이자 설정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세무 또는 법적 분쟁 우려가 있다면, USDT를 원화로 환전해 차용하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현금 차용이 증빙과 안정성 측면(달러연동 스테이블의 코인의 가격변화)에서 유리하다 봅니다.
Q. 우리기술투자 적정 주가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기술투자의 적정 주가는 2025년 7월 기준으로 분석된 자료에 따르면 10,500~12,000원 수준으로 전망됩니다.비트코인 강세와 두나무(거래소 Updit) 지분 보유로 가상자산 수혜주로 주목받으며, 외국인 및 기관의 순매수세(최근 4일 190만주, 1개월 120만주)가 주가를 지지합니다. 단기 과열 우려로 11,000~12,000원에서 조정 가능성이 있지만, 디지털 자산 정책 호재와 실적 개선(1분기 매출 227억, 순이익 148억)이 지속되면,12,370원(연중 최고가) 돌파도 가능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투자자의 입장에서 리스크 관리하며 9,000~10,500원에서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고 합니다.(투자권유는 아닙니다.^^;;)
Q. 미국주식 매도하면 2영업일후에 들어오는거 맞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미국 주식은 매도 후 일반적으로 T+2 결제 주기를 따릅니다. 즉, 매도일로부터 2영업일 후에 자금이 계좌에 입금됩니다.예를 들어, 주식을 거래하는 일을 영업일이라고 할 때 월요일에 매도하면 영업일 기준으로 수요일에 자금이 들어옵니다.다만, 증권사나 계좌 유형(마진 계좌 등)에 따라 입금 시점이 약간 달라질 수 있으니, 사용 중인 증권사의 정책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T+2 결제주기란 거래일, Transaction date 로 2일 소요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