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 연방공개시장 위원회 라는 FOMC 는, 기준금리결정을 위한 결정회의가 연 몇회 이뤄지는가?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통상적으로 1년에 8번 정기회의를 개최합니다. 이 회의는 약 6주 간격을 열리며, 기준금리 결정과 통화정책 방향을 논의합니다. 2025년의 경우도 특별한 변동이 없다면 8번의 정기회의가 예정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긴급회의가 열릴 수 있으나, 이는 비정기적 상황에 한정합니다.FOMC의 금리결정은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금리인상은 달러 강세, 신흥국 자본 유출, 글로벌 유동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인하는 반대로 위험자산 선호와 신흥국 경제 안정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Q. 지금오른 코스피지수 거품일수도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코스피지수가 3000선을 돌파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나, 거품 논란과 하락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상승요인은 이재명 정부의 자본시장 개혁, 외국인 매수세, SK하이닉스 등 대형주 실적호조, 유동성 증가 등입니다.그러나 실물 경제(수출 0.8%감소)와의 괴리, 신용융자 급증(19.6조 원)은 과열 우려를 낳습니다. 전문가들은 단기 조정 가능성을 언급하며, PER과 PBR은 과거 강세장에 비해 거품으로 보기 어렵다고 평가합니다. 국제 정세(중동불안, 트럼프 관세 위협)와 역행하나, 원화 강세와 정책 기대감이 상승을 뒷받침합니다. 하락 리스크는 관세 현실화, 실적 부진, 빚투 과열 등이며, 전 정부시기 대비 하락 가능성은 낮으나, 단기조정은 가능하다 보겠습니다.
Q. 배당수익률이 10프로 가까이 되는 종목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연간 배당수익률이 8~10%에 달하는 국내및 미국 시장의 안정적인 기업을 중심으로 선정했습니다. 우리나라 시장,삼성증권 : 7.7~8%, 금융섹터의 대표적인 고배당주로 최근 주가하락으로 배당수익률이 상승 (2023년 2200원에서 2024년 3578원)우리금융지주 : 7.15~8%, 금융지주사로 안정적인 배당정책을 유지. 2024년 배당성향이 높아지며 투자자 관심증가, 낮은 PBR로 하방위험이 제한적임.미국 시장,버라이즌 : 7.78%, 미국최대 통신사로 8천만 이상의 고객기반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 주당 0.6525달러 분기 배당을 유지하고 있음크라운 캐슬 : 6.27~8%, 통신인프라 운영기업으로 주당 1.565달러 분기배당, 안정적인 수익모델로 배당 지속 가능성 높음
Q. 코카콜라를 3년간 한번도 팔지 않고 계속 보유하고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코카콜라 주식의 배당금은 투자금, 즉 보유한 주식의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코카콜라는 오랜 역사 동안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해 온 대표적인 배당주로 배당금은 주당기준으로 지급됩니다. 따라서 투자금이 많을수록 더 많은 주식을 보유하게 되고, 그에 따라 받는 배당금 총액도 증가합니다. 또한, 배등금 외에도 주가상승을 통한 자본차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코카콜라는 안정적인 사업구조와 글로벌 브랜드 파워로 장기투자에 적합하지만, 시장변동성과 위험도 고려해야 합니다. 배당 재투자를 선택하면 복리효과로 수익을 극대화 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투자금이 많을 수록 주식 수량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배당금도 비례해 증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