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영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전문가입니다.

이영민 전문가
서울아산병원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혈액에 기름이 많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기름을 보는 수치가 임상에서 여러가지가 있기 때문에 정확하진 않으나 900이 되는 정도의 수치면 아마 중성지방 수치의 이상으로 보입니다.중성지방이 상승한 경우의 대표적 원인으로는 식사 습관 중에서 음주나 과도한 야식으로 인헌 에너지의 과다섭취, 그리고 탄수화물 비중이 높은 식사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이전에 다른 지병으로 드시고 있는 약제가 있다면(특히 일부 이뇨제나 스테로이드약물, 여성분의 경우 호르몬제재)이로 인해 발생가능하며 주로 비만인 체형이나 임신, 조절되지 않은 당뇨병을 앓고 계시는 경우에도 중성지방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만일 정도가 심하다고 한다면 약물치료가 곧바로 필요하나 아마 직접치료제가 아닌 오메가3를 처방받으신 것으로 보아 우선 생활습관의 개선을 토대로 치료가 가능한지를 보시려능 것 같습니다.신체활동을 늘리면서 음주량을 줄이셔야 하고 이와 동시에 체중감량을 위한 운동을 꾸준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 비만이신 경우라면 트랜스지방산이 포함된 식품섭취를 줄이셔야하며 적절한 유산소 운동을 동반하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등이 멍든것처럼 답답한데 어떻게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지속되는 등통증으로 많이 힘드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재 글로 보았을 때 등통증의 경우 간헐적이기 보다는 지속적으로 화한 느낌의 통증으로 보이며 다만 일상생활 시 어느정도 견디는 것이 가능한 수준의 통증인 것으로 보입니다.이러한 통증의 경우 정확한 원인을 바로 예측하긴 힘드나, 질문자님의 글 중 이전 '식도염'의 병력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질환이 만성적으로 남으면서 등통증으로 방사되는 것처럼 나타날 수 있을 가능성이 있겠습니다.보통의 식도염은 상복부의 쓰라림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긴 하나 일부 환자에서는 명치나 가슴쪽의 불타오르는듯한 통증으로 초기에 나타나 심장병 등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있는 편입니다.마찬가지로 이러한 식도염으로 인해 등쪽으로 타고 올라가는 통증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우선은 현재 해당증상 이외에 소화불량 등이 있는지 같이 확인해 보시고 식도염에 대한 진료를 다시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으며 이러한 부분에 문제가 없다면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척추나 날개뼈, 또는 대동맥과 같은 주요혈관의 이상감별을 위해 추가적으로 흉부CT또는 척추MRI등이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해당 검사에 대해서는 근처 병원에서 진료를 다시 받아보시고 결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사진에 보이는 약들이 장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제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현재 질문자님께서 올려주신 초기 증상은명치쪽의 쓰라림신물이 지속적으로 올라옴으로 보입니다. 이 부분만 놓고 보았을 때는 장, 특히 위와 십이지장이 포함되는 상복부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나는 대표적 증상입니다.위도 장이기 때문에 위염이라 하면 위장에 생긴 염증, 즉 장염의 일종으로 보시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므로 초기치료로 레코스타를 처방받으신 것으로 생각이 되오며, 이와 동반되었던 오한이나 두통을 잡기위해 아니스펜을 같이 처방한 것으로 보입니다.한편으로는 신물이 올라오고 쓰라림의 원인으로 단순 염증보다 위산의 과다분비로 인한 증상일 수도 있기 때문에 이부분을 조절하기 위해 스토가를 써 본것이라고 추정해볼수 있겠습니다.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시는 장염의 경우 전복부의 통증이 나타나는경우가 좀 더 많아 이런 경우 항생제 복용이 필요할수 있겠으나 우선은 처방받으신 약제를 복용하시면서 2-3일가량 더 경과를 지켜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추후에라도 증상이 악화되는 양상이라면 지체없이 병원에 재내원하실 것을 권유드립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주인없는 개에게 물려서 제법 상처가 있다면 광견병주사 맞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우선 이전 병력이 확인되지 않은 개에게 물린 경우에는 물린 시점으로부터 1주일 이내에 광견병 예방접종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물린 부위가 머리 부위 근처라면 신경계 침투가 쉽기 때문에 특수 항혈청주사 치료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으므로 가까운 응급실에 가셔서 치료받으실 것을 추천드립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어머니가 폐렴이라고 하는데 어떤병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폐렴은 폐의 실질(즉 정상 조직)에 박테리아의 침투로 염증이 생겨서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증상은 보통 발열과 더불어 기침이나 객혈등의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가벼운 경우에는 증상에 따른 대증적인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나 증상이 심한 경우 항생제 치료를 같이 시행해야하는 경우도 있겠습니다. 자세한 치료방침은 빈료받으신 의원의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눈이 뻐근할때 완화할수 있는 방법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가볍게 30초에서 1분가량 온찜질을 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때 너무 뜨거운 물건보다는 따뜻한 정도의 물수건을 통해 눈물샘 주변을 통해서 수분이 잘 공급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마른 기침은 마니하면 폐렴초기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마른 기침의 원인 질환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폐렴 외에도 결핵이나 기관지염, 천식 등으로도 마른 기침이 나올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 확인을 위해서는 근처 내과에 방문하셔서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뮨의드립니다 상피내암0기 대학병원에서 수술하면 좀 더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상피내암은 어디에 발생하였느냐에 따라 치료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수술적인 절제를 요하는 치료 방법이 많습니다. 아마 질문자님께서 이러한 수술적 치료에 대한 신뢰도에 대하여 질문하신 것으로 보이나, 반드시 대학병원에 있는 의료진의 기술이나 실력이 좋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우선은 수술의 난도 자체를 평가하여야 하고, 난도가 높지 않고 합병증 비율이 높지 않은 수술이라면 굳이 대학병원에 방문하셔서 치료를 받으시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당뇨의 경우는 일반 의원에서 진료를 봐도 크게 질적으로 차이가 있을 가능성은 낮으므로 치료되지 않는 난치성 당뇨가 아니라면 우선은 다니시는 병원에서 의사와 재 상의 후에 결정하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손가락이 가위에 찝혔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만일 육안상으로 보이는 출혈이 있지 않은 상태라면 우선 베임으로 인한 상처는 아닐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손가락이 눌리면서 미세 신경들이 자극되어 손가락의 통증이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우선은 통증이 심하다면 진통제로 통증 조절을 진행하여 주시고, 함몰만 되어 있는 상태라면 수 분 내로 회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얼음 찜질을 5분가량 해보시고 1시간이 지나도록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미세 손가락 골절등을 감별해야 할 수 있으므로 가까운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입술에 물집생기는 헤르페스1형 보균자인데 물집이 없는 상태에서도 빨대나 이런거 같이 사용했을때 다른사람에게 바이러스가 옮을수도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헤르페스 바이러스의 경우 수포가 없는 경우에는 전염 가능성이 낮은 편에 속합니다. 다만, 보균자인 것만으로는 다른 사람으로 전염될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빨대를 공유한다고 하면 바이러스를 옮길 가능성은 있다고 보는 것이 맞겠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3513523533543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