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영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영민 전문가입니다.
이영민 전문가
서울아산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내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장염증상인데 병원아간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말씀하신 설사나 복통의 경우 유발 원인이 여러가지가 있기는 하지만 일시적인 증상의 원인의 대부분은 식품의 잘못된 섭취로 인한 장염이나 식중독 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면서 죽과 같은 부드러운 식품 섭취 및 통증을 완화시키는 진통제 등을 복용하면서 하루정도 경과를 보셔도 됩니다.다만 열이 심하게 나거나 구역/구토가 심하게 있는 경우, 혈변 등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내과에 방문하셔서 의사의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산부인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아래 왼쪽 대음순 쪽에 살 안에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우선 관계 후에 새롭게 발생한 병변의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산부인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권고됩니다. 정확한 진찰이 어려워 답변에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단순한 마찰로 인한 자극으로 인해 주변 임파선이 붓거나 실제로 질염이나 분비물이 나오는 샘의 막힘으로 인해 나타나는 낭종이면 이런 경우 바르는 약만으로 잘 해결이 안 될 수 있습니다.암의 경우 하루이틀내로 갑자기 커지는 경우는 없으므로 가능성은 상당히 낮으며 응급한 상황은 아니나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방법이 많이 달라지기 때문에 산부인과에 가셔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실 것을 다시 한번 권유드립니다.질문자님의 쾌유를 기원드립니다.감사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딸이 인대퍼열이라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방금전에 답변드린 글과 동일한 내용으로 보입니다. 우선 수년 전부터 발목의 통증이 있으면서 주변부로도 통증이 퍼지는 양상이라면 MRI 검사 결과까지 종합해 보았을 때 인대파열의 가능성을 보는 게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발목 전체가 나갔다고 표현할 수도 있겠으며 주변부의 발목을 잡아주는 구조물들의 불안정성도 커져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인대가 파열되었다 하더라도 따님처럼 걸으실 수 있는 상태일 수도 있는데, 이는 인대 자체가 발목의 움직임을 완전히 통제하는 구조물이 아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열이 되었다 하더라도 주변 근육층들의 움직임을 통해서 미세하게 걷는 부분들은 가능할 수 있습니다.발목 주변부로 발등이나 아킬레스 건으로 신경들이 이어져 있기 때문에 주변부까지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MRI를 다시 다 찍을 필요는 없습니다만 정확한 진단명은 올라와 있지 않아 수술적인 치료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가 어려운 상태이며, 정형외과에서 재진료 후에 적절한 진단/치료 방침을 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감사합니다.
정형외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딸이 인대파열이라고 들었다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우선 수년 전부터 발목의 통증이 있으면서 주변부로도 통증이 퍼지는 양상이라면 MRI 검사 결과까지 종합해 보았을 때 인대파열의 가능성을 보는 게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발목 전체가 나갔다고 표현할 수도 있겠으며 주변부의 발목을 잡아주는 구조물들의 불안정성도 커져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인대가 파열되었다 하더라도 따님처럼 걸으실 수 있는 상태일 수도 있는데, 이는 인대 자체가 발목의 움직임을 완전히 통제하는 구조물이 아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열이 되었다 하더라도 주변 근육층들의 움직임을 통해서 미세하게 걷는 부분들은 가능할 수 있습니다.발목 주변부로 발등이나 아킬레스 건으로 신경들이 이어져 있기 때문에 주변부까지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MRI를 다시 다 찍을 필요는 없습니다만 정확한 진단명은 올라와 있지 않아 추후 정형외과에서 재진료 후에 적절한 진단/치료 방침을 정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따님의 쾌유를 진심으로 기원드립니다.감사합니다.
비뇨의학과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잔뇨감이 있습니다 왜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스트레스를 일시적으로 강하게 받는 경우 신경의 자극으로 인해 방광의 기능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보통 방광 수축 능력이 약해지거나 불규칙해 지면서 잔뇨감이나 힘을 주어야만 소변이 나오는 증상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고 질문자님의 연령대에서 흔히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따라서 일시적으로 방광 기능의 이상이나 전립선 등의 긴장 상태로 변화가 온 경우에는 휴식을 취하면서 몇 일 경과관찰을 해보시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증상이 심해진다면 전립샘염 등으로 진행되는 경우일 수 있어 비뇨의학과에서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질문자님의 쾌유를 기원드립니다.감사합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