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어르신들은 주식을 하지말라고 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어른들이 주식을 하지 말라는 말은 주식에서 급등주 등을 매수하여 손실을 본경우나, 짧은 기간에 수익을 보지 못한 경우, 또는 매수하고, 상폐가 된 종목이 있는 등의 위험성을 직접 경험했거나, 또는 주변에서 이러한 경험을 하신 분을 보아서 그런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전한 종목이나 분산투자나 분할 투자 등을 하게 된다면 보다 안전하게 투자를 할 수 있으니, 이러한 공부를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자산 변동 보통 몇프로 움직여야 폭등 폭락이라 하나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자산 변동의 경우 폭등./ 폭락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자산의 변동이 5퍼센트 정도가 발생할 때 입니다. 이러한 변동이 5퍼센트가 변동이 된다는 것은 이례적인 일로, 보통 이러한 자산의 변동이 크게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기자들이 폭등.폭락이라고 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습니다. 다만 기자들은 최근의 기사들을 통해 조회수 등이 많이 발생하면 그만큼 수익금이 커서 더 자극적인 기사를 쓰기도 하기 떄문에, 이러한 것은 주의 깊게 비판적으로 보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Q. 전세대출 원금은 임대인, 이자는 임차인의 DSR에 반영하는 방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의 경우 세입자가 대출을 받고, 이러한 dsr은 세입자에게 반영이 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경우 이러한 전세자금을 결국 집주인이 받아서 갭투자 등에 활용하는 등의 상황에서 전세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경우 세입자는 전세금을 갚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정책으로 이러한 위험성을 없애고자 전세대출의 원금의 경우 집주인에게 dsr이 반영이 되고, 전세대출 이자의 경우 세입자에게 dsr이 반영이 되는 구조로 변경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