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메일을 보면 사용가능 용량이라는게 있는데요. 이 사용 가능 용량은 어떻게 지정되고 저장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이메일 프로바이더는 사용자에게 일정한 메일 저장 공간을 제공합니다. 사용 가능 용량은 사용자가 해당 이메일 계정에 저장할 수 있는 메일의 총 용량을 의미합니다.메일 서비스 제공 업체는 서버를 운영하며, 이 서버에는 사용자의 이메일 메시지와 첨부 파일이 저장됩니다. 이메일에 첨부된 파일은 이메일 메시지의 일부로 취급되며, 저장 공간은 이러한 메시지의 크기에 따라 할당됩니다.사용 가능 용량은 이메일 서비스 제공 업체가 설정하는 정책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는 사용자의 계정 유형, 계정 플랜, 구독 또는 무료 계정, 추가로 구매한 저장 공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은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제한으로서, 이는 이메일 서비스 제공 업체의 서버에 할당된 일정한 디스크 공간으로 관리됩니다.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용량을 초과하면 추가 메일을 받거나 보낼 수 없게 될 수도 있습니다.
Q. 콜라랑 멘토스를 섞으면 왜 부풀어 오르나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콜라와 멘토스를 섞는 것은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 부풀어 오를 수 있습니다. 이 반응은 탄산음료인 콜라가 가스를 방출하는 현상인 탄산화 반응과, 멘토스와 콜라가 접촉하여 케미칼 반응이 발생하는 것에 기인합니다.콜라는 탄산화된 음료로서, 이 중에 해탈산소드나이트라트와 같은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탄산화 반응은 콜라에 포함된 탄산세례를 몸에서 배출하면서 일어나는 화학적인 반응으로, 이 과정에서 가스인 이산화탄소가 생성됩니다. 이산화탄소 가스는 액체에서 가스로 변하는 과정에서 부풀어 오르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멘토스는 설탕과 같은 당류를 포함하고 있는 과자입니다. 당류는 물과 접촉하면 녹기 시작하는데, 콜라에 멘토스를 넣으면 멘토스가 녹아 액체가 되면서 당류가 콜라에 확산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당류에 미세한 가스 뼈대가 형성되면서 케미칼 반응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스가 생성되어 액체를 부풀게 만들 수 있습니다.
Q. 전기비행기도 있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전기비행기는 실제로 존재합니다. 전기비행기는 전기로 작동되는 동력을 사용하여 비행하는 항공기입니다. 이러한 비행기들은 전통적으로 연료로 사용되는 항공기와 다른 종류의 동력을 사용하며, 전기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전기비행기는 기존 연료비행기에 비해 환경 친화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이며 소음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상용으로 사용되는 전기비행기 중에는 일반 항공기, 헬리콥터, 드론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전기비행기의 배터리용량은 비행거리와 비행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전기비행기는 소형 경비행기의 경우에는 수십kWh의 배터리를 사용하며, 긴 비행거리를 필요로 하는 상업용 비행기나 장거리 항공기의 경우에는 수백kWh 이상의 큰 배터리를 필요로 합니다.충전된 배터리에서 비행기의 전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여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행기의 속도, 상승률, 고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배터리 용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배터리 용량은 비행거리를 고려하지만, 비행기의 무게와 또한 배터리의 무게도 고려해야 합니다. 큰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할수록 비행기의 무게는 증가하며, 이는 비행거리와 연료 효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Q. 비닐에 쌓여 있는 사탕을 까서 먹을때 지그재그 모양으로 되어 있는 비닐을 양쪽을 엇갈려서 비닐을 찢는 과학적인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비닐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물체이며, 이러한 플라스틱은 유연하고 탄성이 있습니다. 지그재그 모양으로 된 비닐을 양쪽을 엇갈리게 찢는 과정은 플라스틱의 탄성에 의해 일어납니다.비닐을 찢기 위해 압력을 가하면, 플라스틱 분자들 사이의 결합이 일시적으로 늘어나고 단백질의 격자와 같이 탄성 에너지를 저장합니다. 그리고 이 에너지가 풀려나면서 비닐이 원래 형태로 돌아오면서 튕겨져 나갑니다.양쪽을 엇갈리게 찢는 과정은 이러한 탄성 에너지를 충분한 양으로 축적하는 것입니다. 비닐을 서서히 찢는 것이 아닌 빠르게 잡아당기면서 찢으면 더 많은 에너지가 축적되고, 결국 찢는 지점이 생기며 비닐이 찢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