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과거로 가는 순간 모든 물리 법칙의 인과관계가 깨진다'를 쉽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 여행이 가능하다면, 어떤 사건이 일어난 이후에 그 전으로 돌아가서 그 사건을 변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인과관계의 원리를 깨뜨릴 수 있습니다.인과관계는 물리 법칙에 의해 설명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건이 발생하게 되면 그에 대한 결과가 발생하는데, 이들 사건들은 시간의 흐름에 의해 상호작용하고 변화합니다. 따라서 이전의 사건을 변경하려고 한다면, 이전의 인과관계를 무시하고 새로운 결과를 만들어내야 합니다.하지만 이는 매우 복잡하고 모순적인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과거에서의 변경이 파란색 벌룬을 일으킬 수 있으며, 다양한 시간선의 존재 등과 같이 논리적인 모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이유로, 당장의 과학적 지식과 현대 물리 법칙에 따르면 과거로의 시간 여행은 불가능하다고 믿어지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공전 속도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공전 속도는 약 29.78km/s 또는 107,200km/h입니다. 이것은 약 18.5마일/초 또는 초당 약 66,600 마일에 해당합니다. 정확한 공전 속도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약 149,600,000km 또는 약 93,000,000마일)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지구와 태양 간의 중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한 해 동안 지구가 공전하는 동안 공전 속도는 상당히 일정하지만, 공전 궤도는 태양의 중력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주변에 생기는 오로라는 왜 원모양으로만 형성이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과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에서 발생한 태양풍은 우리가 알고있는 빛과 달리 다양한 파장과 입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태양풍은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기장을 통과하거나 딴다는 현상을 일으킵니다.태양풍의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을 통과할 때, 입자들은 자기장의 선을 따라 원형의 경로를 그리면서 극지방에 접근해갑니다. 이 때 입자들과 지구의 대기가 상호작용하면서 빛을 방출하는데, 이때 원모양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자기장이 지구의 극지방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 때문입니다.자기장은 지구의 극 지역에서 최대로 형성되기 때문에 태양풍의 입자들이 극지방으로 향할 때 자기장을 따라 원형의 경로를 그리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입자들과 지구의 대기가 상호작용하여 빛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빛은 주로 녹색, 분홍색, 보라색 등 다양한 색상으로 나타납니다.따라서, 오로라가 원모양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자기장과 태양풍의 상호작용과 극지방에 위치한 자기장의 형태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