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자생식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자생식물 중 멸종위기에 처한 종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산국, 옻나무, 눈잣나무, 조불나무 등이 그러한 종입니다. 이러한 종들은 기온 상승, 건조화, 산사태, 홍수 등으로 인해 서식환경이 악화되어 멸종위기에 놓여있으며, 보전이 필요합니다.정부 차원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자생식물의 보전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국립수목원을 비롯한 수목원들에서 취약종들의 씨앗을 수집, 보존하는 등의 활동이 있습니다. 또한 국립공원 등에서는 멸종위기에 놓인 식물종들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생태계 보전 및 복원 등을 통해 서식환경의 개선을 통해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들을 보호하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왜 검정색이 검정으로 보이고 흰색이 흰색으로 보이는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색상을 갖지 않고, 색상은 빛이 물체에 반사되거나 흡수됨에 따라 인지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보는 색상은 빛의 파장 길이에 따라 다르게 인지되는 것이며, 이를 인지하는 것은 우리 뇌의 시각 체계입니다.검은색은 모든 색상을 흡수하고, 흰색은 모든 색상을 반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빛이 물체에 반사되거나 흡수되는 과정에서 검은색 물체는 빛을 흡수하므로 아무런 빛이 반사되지 않아서 우리 눈에는 검은색으로 인지됩니다. 반면, 흰색 물체는 모든 색상을 반사하므로 우리 눈에는 흰색으로 인지됩니다.물체의 색상은 물체가 반사하거나 흡수하는 빛의 파장 길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우리는 물체가 어떤 파장 길이의 빛을 반사하거나 흡수하는지에 따라 빨강, 파랑, 노랑 등의 다양한 색상을 인지할 수 있습니다.
Q. 락토프리 우유의 어떻게 유당을 제거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락토프리 우유는 락토오스(Lactose)가 제거되어있는 우유입니다. 락토오스는 우유 당에 가장 흔하게 들어있는 당으로, 유당의 하나의 형태입니다. 유당은 일부 사람들에게는 소화가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사람들이 락토프리 우유를 선택합니다.락토프리 우유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됩니다. 먼저, 일반적인 우유를 이용하여 락토오스를 분해할 수 있는 락토오스 분해 효소를 첨가합니다. 이 효소는 락토오스를 분해하여 포도당과 갈락토오스(Galactose)로 변환시킵니다. 이후, 포도당과 갈락토오스는 일반적인 우유 당에 포함되어 있는 락토오스 대신에 사용되는 비당으로 간주됩니다. 이렇게 제조된 락토프리 우유는, 일반적인 우유에 비해 당분이 낮고, 락토오스에 대한 불내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좀 더 소화가 용이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쌍성계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유지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쌍성계는 두 개 이상의 항성이 서로 중력으로 묶여있는 천체계를 말합니다. 이러한 쌍성계는 탄생의 원인이나 유지되는 이유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쌍성계가 형성되는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하나의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거대한 분자 구름이 중력의 작용으로 끌어 당겨지면서 일어납니다. 이 분자 구름은 매우 무거워서, 중심부에서 축적되는 물질이 충분히 많아지면 중앙에서 더 많은 압력과 열을 발생시키면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면서 태양과 같은 항성이 탄생합니다. 이때 태양과 함께 또 다른 항성이 같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쌍성계는 두 항성이 중력으로 서로 묶여 있기 때문에,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면서 서로를 유지합니다. 또한, 항성 간의 유체 역학적인 상호작용이 쌍성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항성 간의 궤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합니다.쌍성계는 그 크기와 질량, 궤도 등이 다양하여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또한, 쌍성계는 다른 천체들과의 상호작용이나 우주의 변화에 따라 유지되는 기간이나 궤도 등이 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