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최성훈 전문가
고려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4일 전 작성 됨
Q.
예방접종 내역에 대한 내용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으로 미루어 성인이 된 후 파상풍 접종은 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됩니다. 길 고양이의 경우 예방 접종 여부를 알 수 없고 위생적으로도 좋지 못하기 때문에 상처가 깊지 않더라도 병원을 방문하여 소독을 받고 Tdap 백신 접종을 권합니다.
내과
4일 전 작성 됨
Q.
낮잠을 자면 두통이나는데 이유가 도대체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두통의 원인은 다양하므로 적어주신 내용만으로 추정은 어렵습니다만 수면 중 잘못된 자세나 고개가 꺽인 상태로 오래 잘 경우 경추 주변 혈관이 눌리며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되며 뇌의 산소 공급에 불균형이 생길 경우 두통의 원인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낮잠을 소파나 의자에서 자는 습관이 있다면, 고치도록 하고 그래도 두통이 반복 시 신경과 진찰을 받아볼 것을 권합니다.
정형외과
4일 전 작성 됨
Q.
꿰멘 상처 드레싱후 거즈가 젖었다면 바로 교체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직접 상처를 보지 못해 답변이 제한적이나 외부에서 액체에 밴드가 완전히 젖거나 상처 부위에서 분비물로 인해 넘친 경우가 아니라면 2-3일 후 방문하셔도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걱정이 되신다면 내일 다시 소독 후 드레싱을 받기 바랍니다.
피부과
4일 전 작성 됨
Q.
상처부위 색소침착 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상처의 색소 침착은 피부 손상으로 인해 유발된 염증 반응으로 인해 세포들이 죽고, 표피의 멜라닌 세포들도 함께 죽으면서 진피에 축적이 되면서 생기는데 이는 정상적인 과정이며 시간이 지나면 진피의 멜라닌탐식세포가 색소를 먹어 없어면서 점차 사라지게 되나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색소 침착이 최대한 안 생기게 하려면 상처 부위에 햇빛 노출을 최소화 할 것을 권합니다.
내과
4일 전 작성 됨
Q.
오이고추 곰팡이 먹은것같아요 도와주세요ㅜ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많은 양을 섭취한 것은 아니며 면역력이 정상인 성인의 경우 위산으로 인해 대부분 제거가 되므로 크게 문제가 되진 않겠으나 2-3일 간 주의 깊게 경과를 지켜보시고 불편 증상이 있다면 인근 병원은 하여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합니다.
정형외과
4일 전 작성 됨
Q.
부딪혀서 손톱 옆이 찢어졌는데 봉합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으로 미루어 손가락은 움직임 많고 물과도 접촉 잦기 때문에 봉합이 필하겠습니다.지혈이 되었다면 밴드를 붙인 상태에서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내과
4일 전 작성 됨
Q.
대변 닦을때 응어리 혈변을 봅니다. 항문외과와 내시경 검사중 어디를 먼저 가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대변의 색은 정상이라면 장 질환보단 항문 출혈의 가능성이 생각됩니다.장 질환의 배제를 대장내시경 검사를 먼저 받아도 되겠으나 항문외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이비인후과
4일 전 작성 됨
Q.
코 편도?가 커서 숨 쉬기 힘들어요 해결방법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비대한 편도로 인해 호흡곤란,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경우 수술적 제거 상담이 필요하겠습니다.이비인후과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산부인과
4일 전 작성 됨
Q.
물같은 찌린내..?같은거 나는 냉이 많이나와요 ㅜ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산부인과적 진찰이 필요하겠으나 적어주신 내용으로 미루어 질염의 가능성이 생각됩니다.질염의 원인은 다양한데 성 관계의 경험이 없더라도 꽉 끼는 옷을 입거나 질이 청결하지 않으면 통풍이 안 돼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기 쉬운 환경이 돼 질염이 잘 생깁니다.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생리 전후 등 질 내 환경이 바뀌는 경우에도 질염이 생기기 쉽습니다.질염을 방치하면 골반염으로 발전하여 불임, 만성 골반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기 바랍니다.
내과
4일 전 작성 됨
Q.
교대근무하다가 상주근무하면 혈당 오를수도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반대로 낮과 밤이 바뀌는 교대 근무 시 신체 리듬이 무너지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할 경우 혈당이 오를 수 있습니다.주간 근무보다는 그동안 교대 근무로 인해 변한 신체 상태가 원인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평소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단의 식사를 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혈당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