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최성훈 전문가
고려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15일 전 작성 됨
Q.
갑자기 왼쪽 가슴과 왼쪽등이 아픈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적어주신 증상만으로 질환의 진단은 어렵고 직접 신체 진찰과 검사의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먼저 충분한 수면을 취하도록 하고 증상이 지속 시 기질적 질환의 배제를 위해 심장, 폐, 위장 검사를 받고 이상이 없다면 심인성 원인에 대해 진료 중인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도 권합니다.
내과
15일 전 작성 됨
Q.
위내시경 결과 위염, 위축성위염 진단받았습니다. 헬로코박터균도 발견되었는데 재균치료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헬리코박터 균의 감염은 위 궤양과 위암의 위험 인자로 검사를 통해 확인 되었다면 제균 치료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내과
15일 전 작성 됨
Q.
속쓰림, 복부팽만으로 병원 방문했더니 설사 없는 장염이라고 하시는데 항생제 다먹었는데 다시 재발한것같아요 ㅜㅜ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적어주신 증상은 질환을 추정할 수 있는 특징적 소견은 아니므로 신체 진찰과 검사가 필요하겠습니다. 다만 충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주의한 식사로 인해 장염이 재발 했을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으므로 배를 따뜻하게 하고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으로 식사를 하며 다시 약물 치료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내과
15일 전 작성 됨
Q.
고밀도 콜레스테롤 낮추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일반적으로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경우 낮을 수록 심혈관계 위험 인자로 높을 수록 바람직하지만 적어 주신 결과 값이 맞다면 과도한 상승으로 재 검사에도 계속 높을 경우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가 필요하겠습니다.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재진료를 받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15일 전 작성 됨
Q.
심박수가 걷기만해도 빨리 뛰는 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운동 시 전신에 혈액을 더 빨리 공급하기 위해 심장 박동이 증가하는 것이 정상 입니다. 걷기 운동 시 110-125회 정도의 심박수는 걱정할 정도의 이상 소견이 아닙니다. 비만으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이 걱정되신다면 심장내과를 방문하여 심장 초음파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비뇨의학과
15일 전 작성 됨
Q.
성기에 계속 흰색반점과 이물질이 생기고 냄새가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피부 병변의 경우 육안적 소견이 중요한데 올려주신 사진에서 병변이 또렷히 확인되지 않습니다. 적어주신 내용으로 미루어 아직 포경 수술을 받지 않았다면 포피염의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어 비뇨기과 진료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15일 전 작성 됨
Q.
똥을 하루에 4번 싸도 정상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대변은 많게는 하루 5회까지도 볼 순 있으므로 변이 정상이라면 큰 이상 소견은 아니지만 잦은 배변으로 일상 생활에 제한이 생기거나 변의 상태가 좋지 못하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과 검사 후 약물 치료를 받을 것을 권합니다.
내과
15일 전 작성 됨
Q.
대장내시경전 오라팡 질문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정해진 용법에 맞게 복용하는 경우 기절까지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겠습니다. 물을 마시는 것이 힘들다면 보리차나 이온 음료로 마시는 것도 가능합니다. 만일 복통이 너무 심하다면 병원 진료가 필요하겠습니다.
내과
15일 전 작성 됨
Q.
이거 냉방병 증상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냉방병은 냉방 중인 환경에서 오랜 시간 머물 때 나타나는 가벼운 감기, 두통, 근육통, 권태감, 소화불량 같은 임상 증상으로 이러한 환경에 있었다면 냉방병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냉방 환경을 벗어나는 것으로 호전되겠으나 불편감이 지속되거나 심하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약물치료를 받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15일 전 작성 됨
Q.
간이랑 쓸개검사에대해서질문드릴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걱정이 되셔서 질문해 주셨을 텐데요. 검사 결과지나 진료 의뢰서가 없어 답변이 어렵습니다. 확진은 아니더라도 악성 질환과 감별이 필요한 소견일 가능성이 추정되므로 서둘러 상급병원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41
42
43
44
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