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손가락마디에 한포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손가락 마디에 나타나는 작은 수포와 간지러움, 혹은 굳은살처럼 튀어나오는 증상은 한포진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포진은 손과 발에 자주 발생하는 피부 질환으로, 작은 물집이 모여 수포처럼 보이고 간지럽거나 아픈 증상이 동반되죠이 질환은 주로 알레르기 반응, 스트레스, 피부 자극, 혹은 과도한 습기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수포가 터지면 피부가 갈라지고, 습기가 차서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굳은살처럼 올라오는 부분은 다른 피부 질환일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습진, 건선, 혹은 손톱 주변 피부의 자극이 원인이 될 수 있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피부과 방문을 권장합니다. 피부과에서는 물집을 분석하거나, 필요시 피부 조직 검사를 통해 확실한 진단을 내릴 수 있을 거에요
Q. 오랫동안 엎드려잤는데 배가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설명하신 증상은 복부 팽창과 관련된 호흡 패턴 및 자세의 불균형, 특히 심부 코어 근육(횡격막, 복횡근, 골반기저근 등) 기능 저하와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랫동안 엎드린 자세는 흉곽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횡격막의 기능을 비정상적으로 사용하게 만들며, 잘못된 복식호흡 패턴이 고정되면 복압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아 복부가 앞으로 밀려 나오는 형태가 되죠특히 골반기저근 운동을 하면서 원심성 수축(늘리면서 힘주는 동작)이 적절한 코어 협응 없이 진행되면 복압이 위로나 앞으로 빠져나가 배가 급격히 튀어나온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에는 단순한 복근 운동보다는 호흡 재교육을 기반으로 한 코어 재활운동이 필요합니다. 먼저, 누워서 무릎을 세운 자세에서 횡격막 호흡(배가 아닌 갈비뼈가 옆으로 퍼지는 깊은 호흡)을 연습하고, 그 상태에서 복횡근, 다열근, 골반기저근을 동시에 가볍게 활성화하는 훈련을 하세요. 이후에는 데드버그, 버드독, 플랭크 등의 저강도 코어 안정화 운동을 통해 복압 조절과 코어 협응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구요단순히 배를 집어넣는 운동이 아니라, 호흡-자세-근육 협응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운동은 하루 10~15분 꾸준히 반복하면서 체형 변화에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Q. 주말이라 병원 가기 전에 질문드려 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병변이 잘 안보여요. 항문 주위에 통증이 있고 고름이 묻어나오는 증상이 있다면 단순 치질보다는 항문 주위 농양이나 피부 밑에 생긴 종기(모낭염, 피지낭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항문 주위 농양은 항문 안쪽 분비샘이 막혀 세균이 감염되면서 고름이 차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통증과 불쾌감만 있다가 진행되면 고름이 자연스럽게 터지며 분비물이 나오기도 해요. 이 경우 자가치료나 치질약으로는 호전되지 않으며, 절개 배농 등 처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종기처럼 보인다고 해도 위치가 항문 주위이고, 통증과 함께 고름이 나왔다면 단순한 피부 종기보다는 항문 농양 가능성이 더 큽니다. 증상이 악화되거나 반복되면 치루(항문샛길)로 이어질 수 있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주말이라 병원 방문이 어렵다면 좌욕(따뜻한 물에 엉덩이 담그기)으로 염증을 조금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해지거나 고열, 부기, 출혈 등이 동반되면 응급실 방문도 고려해야 합니다. 내일 항문외과 진료를 권장합니다
Q. 성기쪽 무슨 병변인지 봐주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지금까지의 검사 결과와 증상 경과를 보면 성병이나 심각한 감염보다는 마찰, 자극,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일시적 염증 반응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수포나 붓기는 단순포진 1형이나 접촉성 피부염 같은 원인으로도 생길 수 있는데, 현재 통증 없이 호전 중이고 매독이나 HIV, 헤르페스 2형 등은 모두 음성이므로 심각한 성병 가능성은 낮아 보이구요. 장기간 붓기가 지속되더라도 염증 조직은 수 주 이상 회복에 걸릴 수 있으며, 불안감이 증상을 더 부각시킬 수 있으므로 지나친 걱정보다는 경과 관찰이 우선입니다. 다만 붓기가 악화되거나 딱딱해진다면 피부과나 비뇨기과에서 조직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Q. 심장 그래프인데요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스마트 워치 ECG는 정확하지 않고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측정하냐에 따라 좌지우지 되기 때문에 병원에서 의료진 지도하에 찍어보셔야 정확합니다. 말씀하신 “가슴이 울컥하는 느낌”이나 “두근-두근, 맥박이 건너뛰는 느낌”은 흔히 심실조기수축(PVC)이나 상심실조기수축(PAC) 같은 일시적인 심장 리듬의 변화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건강한 사람에게도 간헐적으로 생길 수 있지만, 자주 반복되거나 불편함이 동반되면 평가가 필요해요심장에 울컥하는 느낌, 불규칙한 맥박, 가슴 불편감이 반복되면 심장내과나 순환기내과를 방문하여 24시간 심전도(Holter 검사)를 포함한 검사를 권장합니다. 특히 최근 스트레스, 카페인 섭취, 수면 부족 등도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니 생활습관 점검도 중요하구요이런 증상이 자주 반복된다면 가급적 빠르게 병원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