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수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전문가입니다.

김수비 전문가
QUB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Q.  혈액검사지 결과 해석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그냥 혈구 크기, 혈구 분포도에서 정상범위 약간 벗어난 거라 이걸로 뭔가 대단한걸 말씀드리기는 어려워요검사 수치상 MCV(81.6), MCHC(34.6), MPV(8.7)는 정상 범위에 가깝거나 경미한 차이이며, PDW(8.7)는 약간 낮은 편이지만 임상적으로 큰 문제를 의미하진 않을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빈혈이나 혈소판 이상 여부는 추가적인 검사나 아이의 증상 유무와 함께 평가해야 합니다. 정확한 해석은 전체 혈액검사 결과(CBC)와 아이의 건강 상태, 증상 유무를 함께 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Q.  혈액검사 결과 분석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먼저, PDW(혈소판 분포 폭)가 7.3으로 기준치(9.8-16.5)보다 낮아 혈소판 크기 변화가 적음을 나타냅니다. MPV(평균 혈소판 용적)도 8.0으로 기준치(9.2-12.5)보다 낮아 혈소판이 평균보다 작을 수 있구요MCV(평균 적혈구 용적)는 83.2로 정상 범위(85-100)에 약간 못 미치며, 이는 적혈구 크기가 살짝 작은 편임을 시사합니다. Seg(호중구)는 32.5%로 기준치(40-75%)보다 낮고, Lymph(림프구)가 57.6%로 기준치(21-50%)보다 높아 면역 반응이 활발하거나 감염 후 회복 중일 가능성이 있어 보여요Mono(단구), Eo(호염구), Baso(호염기구)는 각각 7.9%, 1.7%, 0.3%로 정상 범위 내에 있어 큰 이상은 없어 보입니다. Differential count가 null로 표시된 것은 추가 세부 항목이 측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종합적으로, 혈소판과 적혈구 크기가 약간 작고, 호중구와 림프구 비율이 기준에서 벗어나 있지만, 심각한 이상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정확한 해석과 필요 시 추가 검사를 위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자궁 겉에는 혈관으로 쌓여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네, 자궁은 혈관이 매우 풍부한 기관입니다. 자궁벽 바깥쪽과 주변 조직에는 동맥과 정맥이 촘촘하게 분포해 있어 생리, 임신, 출산 시 혈액 공급이 활발히 이루어집니다. 릴스에서 본 것처럼 혈관이 자궁 주변에 많고 복잡하게 보이는 것은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입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다리 증상이 뭔가요? 혈액순환관련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다리에 나타난 혈관 돌출과 보라색으로 파인 부위, 붉은 얼룩, 그리고 다리의 냉감은 혈액순환 장애, 특히 하지정맥류나 모세혈관 확장증과 관련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정맥류는 정맥의 판막 기능 이상으로 혈액이 정체되며 혈관이 부풀고, 피부 위로 튀어나오거나 색 변화(보라색, 갈색 등)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또한 붉은 얼룩은 피하혈관이 약해진 경우, 또는 혈류 정체로 인한 염증 반응일 수 있구요다리가 차갑고 붉은 얼룩이 자주 나타난다면 모세혈관 순환 저하, 혹은 자율신경 불균형(예: 레이노 증후군) 등의 가능성도 고려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혈관초음파검사나 피부과 및 혈관외과 전문의 진료가 필요하며, 조기 진단 시 압박스타킹, 생활습관 개선(걷기 운동, 다리 올리기 등)으로 관리가 가능해요
내과
내과 이미지
Q.  고지혈증이나, 비만인경우에 그리고 요산수치가 높을경우에 염증수치가 높게나올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어제 답변 드렸던 내용이랑 반복이라 복붙합니다먼저 염증 수치(hs-CRP)는 2.73 mg/dL로 기준치(저위험 3.0)에 따라 평균 위험 수준입니다. 엄청 높지는 않지만 정상보다 높으며, 고지혈증과 복부비만이 염증 수치 상승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어요요산 수치는 8.8 mg/dL로 기준치(3.4~7.0 mg/dL)를 초과하여 높습니다. 이는 통풍(고요산혈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엄지발가락 부종과 통증은 통풍 발작으로 보입니다. 고지혈증 수치도 심각한데, 총 콜레스테롤(279 mg/dL, 기준
안과
안과 이미지
Q.  알론 점안액 0.15%랑 큐알론 점안액 0.3%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알론 점안액 0.15%와 큐알론 점안액 0.3%는 둘 다 히알루론산 계열의 인공눈물로, 눈의 건조함을 완화하고 윤활 작용을 도와줍니다. 이러한 인공눈물 제품은 대부분 콘택트렌즈 착용 중에도 사용 가능한 무방부제 제품으로 출시되지만, 정확한 사용 여부는 각 제품의 설명서 또는 제품 용기 라벨에 기재된 사용 지침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특히 큐알론 0.3%처럼 농도가 높은 제품은 점성이 있어 렌즈에 끼임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구요컬러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점안이 가능한 제품인지 명확하지 않다면, 렌즈를 낀 눈에 직접 넣기보다는 렌즈를 빼고 점안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혹은 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눈에만 점안하거나, 렌즈 착용 전후 10~15분 간격을 두고 사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어요. 사용 전에는 반드시 제품 설명서 또는 약국 상담을 통해 콘택트렌즈 사용 시 점안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가다실9 접종주기 및 복용약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가다실9 접종은 원칙적으로 0-2-6개월 일정으로 3회에 걸쳐 진행됩니다. 다만 실제로는 다양한 이유로 일정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으며, 2차와 3차 접종 간의 간격이 6개월 이상이 되어도 재접종 없이 3차 접종만 완료하면 효과는 유지됩니다. 특히 1차 접종일로부터 1년 이내에 3차 접종을 마치면, 백신 효과가 충분히 유지된다는 것이 현재 권고에요질문자님은 1차가 2024년 6월 7일, 2차가 2024년 10월 19일이므로, 현재 3차를 2025년 6월 7일 이전에 마치시면 됩니다. 비록 2차-3차 간격이 6개월을 넘었지만, 1년 내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핵심이므로 지금이라도 3차를 맞는 것이 권장되는거죠현재 복용 중인 비염약(항히스타민제)이나 항생제는 일반적으로 가다실9 접종의 금기사항이 아닙니다. 다만 고열, 급성 감염, 전신증상이 심한 경우는 일시적으로 접종을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경증 질환이나 약 복용만으로는 접종에 큰 문제는 없구요. 접종 당일 상태가 안정적이라면, 3차 접종을 진행하셔도 되는데 다만 걱정되신다면 접종 전 병원에서 담당의와 간단히 상의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Q.  18개월 여아 갑자기 머리카락이 눈에 띄게 많이 빠져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18개월 된 아기가 갑자기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증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털빠짐은 아기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생후 6개월에서 2세 사이에 유아의 원형탈모나 일시적인 털빠짐이 있을 수 있어요이는 아기 머리카락이 교체되면서 생기는 자연적인 과정일 수 있지만, 갑자기 많이 빠지는 경우에는 영양 부족,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또는 피부 상태(예: 두피염 등)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하지만, 머리카락이 지속적으로 많이 빠지거나 두피에 염증이 있는 경우, 또는 아이의 피부가 붉어지거나 자극을 받는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이른둥이였던 아기라면 면역력이나 영양 상태가 더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검사하여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서 아기의 두피 상태나 혈액 검사, 영양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서울대병원 정형외과MRl조영제 검사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조영제를 사용하는 MRI(MRI)나 MRA 검사는 조영제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신장 기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더 신중해야 합니다. 조영제는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전 반드시 의사에게 신장 상태를 상세히 알리고, 조영제 사용의 안전성을 검토해야 합니다.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의사가 신장 기능을 모니터링하며 검사하는 것이 중요해요대학병원에서 입원 후 검사는 가능하지만, 검사 예약 시간과 병원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서울대병원과 같은 대형 병원은 입원 치료가 가능하고, 병원 내 검사 전후 입원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입원 여부와 관련된 세부사항은 병원에 직접 문의하여 예약을 조정하거나, 입원 절차에 대해 확인하는 것이 좋을 듯 해요서울에서의 긴 이동이 부담스러우시다면, 병원 측에 미리 상황을 알리고 입원 가능 여부를 확인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아버지가 새벽에 두통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아버지께서 겪고 있는 통증은 목 근육의 긴장이나 목디스크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목을 움직일 때 뒷통수에서 통증이 생긴다고 하셨고, 통증의 위치가 한쪽으로 집중되어 있으며 통증이 일상생활에서 신경 쓰이는 정도라고 하셨으므로, 목 근육의 과도한 사용이나 근육 긴장으로 인한 문제일 가능성이 커요또한, 목디스크가 있을 경우, 목을 움직일 때 특정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통증은 보통 신경 압박 때문에 발생하며, 구토나 마비 증상 없이 통증만 발생하는 경우도 많구요아버지께서 새벽에 통증이 더 심하다고 말씀하셨다면, 자세나 수면 중의 압박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장시간 같은 자세로 자거나, 베개 높이가 불편하면 목에 압력이 가해져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해지지 않고 호전도 없는 상태라면,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해요해외에 계시므로 병원에 가는 것이 어렵다면, 일단 진통제나 근육 이완제를 사용하면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으나,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정확한 진단을 받기 위해 현지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