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시에서 낯설게 하기라는 말은 무엇을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낯설게 하기란 용어는 러시아의 쉬클로프스키라는 사람에 의해 처음 사용 되게 되는데 이 사람은 러시아의 형식주의를 대표하는 인물로 문학을 문학답게 하고 다른 학문 령역과 문학연구 령역을 변별시켜주는 특징을 문학성이라고 할 때 그 문학성은 문학이 사용하는 언어적 특질(말하는 방식)과 관련되며 그것은 바로 낯설게 하기에 의해 특징지어진다고 했다고 합니다. 우리 시에서 예를 한번 들어 보면 , 이근모 시인은 '노을은 삶의 유형수'라는 표현을 통해 낯설기 기법을 적용한 예를 보여줍니다. 여기서 '노을'은 삶의 종말과 죽음을 앞둔 존재의 이미지로 재해석됩니다. 이와 같은 표현은 노을이라는 자연 현상을 단순히 아름다운 풍경이 아닌, 삶과 죽음의 의미를 담은 상징으로 변모시킵니다. 이러한 낯선 시각은 독자로 하여금 일상에서 접하는 현상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게 만들며, 새로운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게 하게 됩니다. 이러한 표현법이 " 낳설게 하기" 에 해당 합니다.
Q. 우리나라 문학상 중에서 가장 인정을 많이 받는 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한국문학상(韓國文學賞)은 시단 법인 한국 문인 협회에서 한국 문학에 두드러진 작품을 해마다 골라 그 작품의 지은이에게 주는 상인데 한국 문학상은 1964년에 첫 수상자를 시 부문에서 선정 수상하였으며 수상 분야는 시, 소설, 연극, 수필, 문학평론, 아동 문학 등에 두루 걸쳐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