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의 시조는 사대부의 시조만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조선 시대의 시조는 대체로 남성 전유물이었고, 특히 조선 전기의 시조들은 양반들이 풍류를 즐기거나 유교적 이념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사용된 면이 적지 않지만 그러나 많지는 않으나 여인들, 특히나 기녀들에 의해 창작된 시조들은 그 모습을 달리하고 있는데 기녀들의 시조는 고려 가요의 맥을 이어가는 정조를 보여주며, 인간의 진솔한 모습을 노래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경우가 황진이 , 홍랑등의 시조가 있습니다.
Q. 인도에서 전해 내려오는 신화와 전설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인도에는 브라만교와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까지 수많은 종교가 탄생했기에 그 많은 종교만큼이나 신도 많다고 합니다. 오죽하면 인도인의 수만큼 수많은 신이 있다고 이야기할 정도인데 그리고 이 수많은 신들은 그저 ‘존재’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종교 세력의 변화에 따라 위상이 강해지거나 약해지고, 또 역할이 교체되는 등 그 위치가 엎치락뒤치락 변화했는데 예를 들어 인드라가 ‘신들의 왕’으로 여겨지던 시기를 지나 베다 시대 말에 이르러 브라흐마가 창조신으로 받들어지고, 불교의 세력이 커진 시기에 이르러서는 브라흐마(대범천왕)와 인드라(제석천왕)가 붓다를 공경하는 등 그 예는 수없이 많이 찾아볼 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