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4월 24일 작성 됨
Q.
어떤행운이나 장사같은게 잘되었을때 쓰는 "노난다"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나다의 사전적 의미는 ‘횡재를 얻거나 운수가 대통하여 모든 일이 잘 풀리게 되다’라는 의미입니다. 즉, 의도하지 않았지만 좋은 일이 생겼을 때 이러한 말을 사용하는 것이죠. 보통 이러한 상황이 오면 ‘노났네, 노났어’라고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2024년 4월 24일 작성 됨
Q.
신라 시대에 성골과 진골의 차이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골은 왕족 내부의 혼인으로 태어난 집단이며 진골은 왕족과 다른 귀족의 혼인으로 태어난 집단 입니다. 같은 왕족이면서 성골과 진골로 구별되는 것은 모계에 의한 것 입니다. 정치적인 면에서 구분, 왕실 직계의 왕위 계승자 및 왕위 계승을 보유할 수 있는 제한된 근친자를 포함하여 성골이라 하고, 그 위 왕위 계승에서 소외된 왕족을 진골이라고 합니다.
2024년 4월 24일 작성 됨
Q.
피카소가 한국관련 그림을 그린적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그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피카소가 그린 한국과 관련된 그림은 바로 바로 한국전쟁 (Korean War, 6.25전쟁)인데 이 한국전쟁에서 벌어진 학살을 접한 피카소는 라는 작품을 그리게 된다고 합니다.
2024년 4월 24일 작성 됨
Q.
월화수목금토일 이렇게 일주일을 누가 만들었고 오늘날 통용되게 만들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주일 7일의 요일은 고대 바빌론* 사람들이 기원전 2천년 즈음에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고대 바빌론 사람들은 태음월에서 달빛이 28천의 4등분되는 것을 발견하고, 제사를 지낸 뒤 7일을 1주일로 삼았다고 합니다. 요일은 별자리의 위치와 일기(日氣)때문에 칠요일이라 부르기 시작한 것이 처음 이라고 합니다.
2024년 4월 24일 작성 됨
Q.
우리 민족의 역사 속에서 연은 어느 경우에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연은 놀이용도 뿐 아니라 군사 작전에서도 사용 되었습니다. 연은 가오리 연과 방패연으로 구분되며 전 세계 160여 개국이 연 문화를 가지고 오랫동안 연 축제를 이어오고 있으나 정작 방패연은 한국만이 가지고 있으며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는 연인데 방패연의 특징은 과학적 원리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연이라는 점이다. 연 가운데 구멍이 바람을 이용하는 기술로 연의 기능성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연으로 소통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방패연은 구멍을 기준으로 상하로 구분되며 상하에 그림이나 색상을 표시하여 군사들에게 작전을 지시하는 수단이었는데 산을 표시하면 삼봉산으로 집결하거나 밤에 공격하라는 등의 지시로 흩어졌던 군사를 집결시키고 공격하고 다시 흩어짐으로 왜군을 혼란시키고 긴장시킴으로 작전을 유리하게 전개했다고 합니다.
336
337
338
339
3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