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에 잔존해 있는 몽골의 풍습 여러가지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몽골의 음식 문화도 고려로 들어왔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소주, 설렁탕, 타락죽, 순대, 수유 등이 몽골의 음식 이였습니다. 결혼 풍습에서도 몽골과 우리나라의 유사점이 있습니다. 족두리를 쓰고 연지 곤지를 찍고 시집가는 결혼 풍습은 몽골의 것이 원조이며, 아이를 낳은 집에 금줄을 치는 것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Q. 주식 관련 기사에서 말하는 M7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M7이란 현재 미국 증시를 이끄는 7개의 빅테크 기업 종목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영어로는 Magnificent Seven으로 1962년 개봉된 '황야의 7인(The magnificent seven)'에서 가져온 단어인데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BAC)의 마이클 하트넷이 처음 쓴 단어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 시대가 도래하며 과거 미국 주식을 이끌던 기업을 나타내는 FAANG(Facebook, Apple, Amazon, Netflix, Google)에서 'M7'으로 증시의 리더가 바뀌었다고 합니다. 포함된 기업으로는 엔비디아, 메타, 테슬라,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이 있습니다.
Q. 기사도는 누가 만들었고, 어떤 내용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사도란 중세 시대에 발전했던 일련의 행동 규범입니다. 비록 단일화된 문서 같은 것은 없지만 후대의 문학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비공식적인 규범이라 할 수 있는데 이 규범은 무사들이 지배하는 사회 체계를 안정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했습니다. 기사도의 덕목은 충성과 신앙, 겸허, 용맹, 사랑, 관용, 부녀자와 약자 보호 등이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