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에서 일어난 이재수의난에 대해 알려 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재수의 난은 20세기 초에 제주도에서 발생한 중요한 민란 사건인데 이 사건은 천주교와 주민들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천주교라는 외래 종교와의 갈등, 그리고 세금징수의 문제가 민란의 원인이 되었고 이재수의 난은 1901년에 발생했으며, 그 규모는 전에 없이 컸습니다. 이재수의 난은 천주교의 교세 확장과 이에 따른 폐단, 정부의 조세수탈 등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프랑스 군함 2척이 제주 해상에 출동하고 조정에서 찰리사(察理使)와 군인들이 제주에 도착하여 1901년 6월 11일 이재수 등 민군의 지도자들을 체포 서울로 압송하여 감으로써 교안은 진정되었다고 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과거 신윤복이나 김홍도 같은 화가들의 작품이 남아있는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홍도와 신윤복은 서로 비슷한 주제를 가지고 다양한 작품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김홍도의 과 신윤복의 , 김홍도의 과 신윤복의 인데 《단원 풍속도첩》을 구성하는 25점의 풍속화 중 하나인 은 시골의 길거리에서 술과 밥을 파는 쉼터인 주막의 모습을 묘사하는데 같은 화첩에 속한 다른 그림들에 비해 배경이 되는 공간의 묘사가 자세하게 묘사 합니다. 가 속해있는 《풍속도화첩》은 사람들 간의 애정과 양반사회의 풍류를 묘사한 풍속화 30여 점이 들어 있는 화첩인데 그 중 는 ‘술을 늘어놓고 술잔을 들어올린다’는 뜻으로, 격식을 갖춘 주막인 선술집의 모습을 그렸다고 합니다. 그중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색채의 사용이다. 주모의 푸른빛 치마와 옆 사내의 붉은 관복(官服)은 강렬한 색채의 대비를 이루며, 동시에 담장에 핀 진달래의 분홍빛과 사내들의 옷에서 드러나는 청포빛은 은은하게 조화롭다 합니다. 이러한 색의 사용과 함께, 좌측 상단에 적혀있는 ‘술잔을 들어 밝은 달을 맞이하고, 술항아리 끌어안고 맑은 바람 대한다’는 내용의 시는 작품 속 풍류의 분위기를 한층 더 고조시킨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오체투지란 어떤 수행방법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오체란 신체의 다섯가지 부분인데 투지는 오체 (5체)를 땅에 대며 절을 하는 것을 뜻합니다. 여기서 오체란 두 팔꿈치와 두 무릎, 이마를 뜻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무릎을 땅에 대고 고개를 숙여 엎드리는 방식으로 절을 하지만 티베트에서는 오체투지가 일반적인 방식인데 두 절은 모두 신체 중 가장 신성한 머리를 천한 땅 (또는 발)에 닿게 함으로써 가장 큰 존경을 나타내는 예경의 방법이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불교를 국가 차원이나 일반 국민들 대다수가 믿는 서양국가는 왜 없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가 서양에서도 있었습니다. 기원 전 2세기경에 불교가 서양에 전파되었지만 아직 큰 힘을 갖고 있지는 못했습니다. 오히려 서양인들이 불교국가에 침입해서 기독교로 개종시키려고 하는 움직임들이 더 강했습니다. 기원 전 2~3세기에서 13세기 전까지는 불교도들은 서양인들과 간접적인 만남 이외는 큰 접촉은 없었습니다. 서양인들이 불교에 본격적인 관심을 갖기 시작한 때는 19세기 초부터입니다. 특히 진보적인 지성인들이 동양사상과 불교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데 독일철학자 쇼펜하우어(Schopenhauer, 1788~1869)는 자신의 생에서 가장 영광된 일은 불교를 만난 것이라고 할 만큼 불교에 대한 애정과 조예가 있었습니다. 19세기 초 미국의 초월주의자 에머슨(Emerson, 1803~1882)과 쏘로우(Thoreau, 1817~1862) 등이 불교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는데 이 분들이 활약했던 곳이 하버드대 근처의 콩코드라는 작은 도시 라고 합니다. 월든 호수에서 쏘로우는 작은 오두막집을 짓고 자연주의운동을 시작했는데 이 사람들은 불교에 영향을 받았고, 또 동양사상에 심취해 있었다고 합니다. 쏘로우는 인도의 간디가 무저항독립운동을 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문득궁금한데울산이 산업수도라고 불리계된 역사적 배경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울산이 산업 수도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조선·자동차·석유화학 등 3대 주력산업을 보유한 ‘산업수도’로 불린다고 합니다. 울산은 1962년 1월27일 ‘특정공업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비료공장과 석유화학 공장설립을 시작으로 한국의 산업화를 이끌었던 도시 입니다.
6316326336346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