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사해는 바다도 아닌데 염도가 높은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사해의 물은 기본적으로 지중해로부터 유입되었습니다. 약 400만년 전 지구 온난화와 비슷하 기후 변동을 겪으면서 지중해의 해수면이 상승했고, 지금의 사해위치에 남북으로 길게 호수를 형성하였습니다.이후 빙하기가 도래하였고, 더 이상 지중해로부터의 바닷물의 유입이 멈췄습니다. 이후 비교적 높은 온도(연중 25~40도)를 형성하는 지역의 기후 특성 상 유입되는 물보다 증발하는 물이 많아졌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의 거대한 호수였던 곳이 지금의 북쪽엔 '갈릴리 호수', 남쪽엔 '사해'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이후 두 개로 나뉘게 된 호수는 요단강을 통해 연결되었습니다. 갈릴리 호수의 물이 요단강으로, 요단강의 물이 사해로 흐르고 있습니다. 물의 유입과 물의 방출이 이뤄지는 갈릴리 호수와 다르게 사해는 요단강으로부터 약 500t의 물을 매일 공급받고 있습니다. 다만, 다른 곳으로의 흐르는 방출이 아닌, 증발에 의한 방출이라는 것입니다.즉, 물이 공급은 되지만, 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지 못해 순환이 이뤄지지 않는 상태에서 증발만 일어나 무기염류는 계속 축적되고 있는 상황이지요.요약하자면, 더운 기후와 물이 흐르지 않고 증발만 하여 무기염류가 계속 축적되고 있기 때문에 사해의 염도는 조금씩 높아지는 것입니다.
Q. 용암에 쓰레기를 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용암처럼 뜨거운 물질은 원 상태보다 온도가 많이 낮은 물질을 만나면 터집니다. 매우 넓은 화산에 종량제 봉투정도 되는 양의 쓰레기 하나를 던졌을 때, 쓰레기가 빠진 포인트에서는 국지적으로 화산이 폭발하는(화산이 분출하는 것이 아닙니다)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실제 화산 꼭대기 근처에서는 매우 많은 양의 유독 가스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명에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화산으로 빠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리고 화산 구덩이까지 많은 양의 쓰레기를 운반하는 것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 비현실적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에 이산화탄소가 지금보다 2배많아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바다 등에 용해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급감하여 지구의 온도가 급격히 높아질 것입니다.지구의 온도가 높아지면 극 지방의 빙하 등이 모두 녹을 것이며, 만년설 또한 모두 녹아 해수면의 높이는 지금보다 높아질 것입니다. 이에 따라 해수면이 낮은 나라, 지역은 소멸되어 해안선이 달라질 것입니다. 즉, 인구밀도는 지금보다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또한, 식물의 광합성에도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광합성에는 빛의 세기, 이산화탄소 농도, 온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대기 온도가 올라가면 식물에서는 증발이 활발해질 것이며, 증발이 활발하면 식물은 말라죽을 것입니다. 이를 막기위해서는 식물은 기공을 닫아 증발을 막을 것입니다. 기공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통로입니다. 기공을 닫으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못해 잎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아집니다. 이렇게 되면 광합성에 이용되는 효소는 이산화탄소가 아닌 산소와 결합하게 될 것입니다. 즉,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뱉을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기본적으로 식물은 자신을 지키기 위해 잎을 더 두껍도록 진화할 것입니다.또한, 식물의 호흡 작용으로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보다 내뿜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더 많아져 숲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