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심헌용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심헌용 전문가입니다.

심헌용 전문가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공룡 이름은 왜 사우루스가 많을까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사우로스(Saurus)는 그리스어로 '도마뱀'이라는 뜻입니다.본래 ~사우루스의 이름은 파충류로 분류되던 공룡에게만 붙였던 이름이었으나, 현대에 와서는 공룡이 살던 시대에 발견되는 어류, 조류 등의 거대 생명체에게 붙이는 이름의 대명사가 되어 분류상 의미가 없는 이름이 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동아프리카 지구대는 판의 경계?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열곡대라는 단어는 한자 뜻 그대로 골짜기 형태로 쪼개지고 있는 지역 이라는 뜻입니다. 동아프리카 열곡대는 1년에 2~7mm 속도로 서로 멀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이 부근(홍해, 아덴만 등)에서는 지각의 확장 운동으로 인하여 지진 및 화산 활동이 이뤄지며 새로운 지각이 생성되고 있습니다.오랜 시간이 지났을 때 지각의 융기가 발생하면 산이나 골짜기 등이 될 것이며, 침하가 일어나면 바다 혹은 해구 등으로 변하게 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눈 감았다가 뜨면 동공이 확장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동공이 확장되었다는 것은 어두운 곳에 들어가 있는 것과 같습니다. 즉, 주변에 빛이 적은 상태에서 시각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적은 빛을 모아야 하기 때문에 동공이 확장되는 것이지요.눈을 감을 때 동공은 어두운 시야를 갖습니다. 즉, 주변의 빛을 더 모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눈을 감았다 뜰 때 동공이 확장되어 있는 이유도 이와 같습니다. 어두운 상태에 있었으니 동공이 확장되어 있는 것입니다.눈을 뜨고 있는 상태가 지속된다면 동공은 점차 축소될 것입니다. 주변의 빛이 충분하여 적은 양으로도 시각적인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기 때문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냇물에서 잉어가 수면 위로 튀어 오르는 현상을 봤습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고기가 수면 밖으로 점프를 하는 이유는 상위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때, 수면 밖의 곤충 등의 먹이를 찾을 때, 산란을 할 때, 몸에 붙어 있는 기생충을 제거할 때, 물 속의 산소가 부족할 때, 소음이 발생할 때 등 다양한 이유를 갖습니다. 주로 봄 철에 잉어가 수면 위로 점프를 하는 이유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물 속에서 이전보다 플랑크톤의 광합성 등이 활발해져 산소가 부족해서 점프를 하는 경우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봄에는 왜 산불이 많이 나나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에는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비교적 바람이 약하게 붑니다. 하지만, 봄이 되면서 대륙성 고기압의 세력은 약해져 이동성 고기압으로 저하되고, 고기압이 이동하면서 바람이 세차게 부는 지역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봄엔 습도가 낮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앞서 말했 듯 바람이 세차게 불기 시작하는 계절입니다. 이는 산불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입니다.산불의 90%는 사람의 실화가 원인입니다. 즉, 겨울 간 없던 이동이 생기고, 활동적으로 변하기 시작한다는 것이지요. 농촌에서는 농업 준비를 위해 밭이나 논 등지에서 불을 놓아 잡풀을 제거하기도 합니다. 이럴 때 바람이 세차게 불면 불씨가 주변 산지로 날라가면 마른 낙엽 등에 발화가 되어 산불이 발생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상어는 알이 아니라 새끼를 낳는다고 하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지금까지 밝혀진 바로는 모든 상어가 새끼를 낳는 것은 아닙니다. 상어 종류의 약 60%만 새끼로 번식을 하고 나머지 40%는 알로 번식을 한다고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물방울이 떨어지면서 동굴에선 석순이 생기는데.. 일반 밖에서는 물방울로 인해 돌들이 구멍이 뚫립니다.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동굴 내부에서 생긴 석순 등의 자연발생한 것은 물 외에 석회질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석회질 성분은 눈으로 확인할 수 있 듯이 물이 증발하면 그대로 굳는 현상을 보입니다. 일상생활에서는 석고상, 석고 깁스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반대로 석회와 같은 성분이 없는 물방울은 풍화작용을 일으켜 물방울이 떨어지는 지점에서 구멍이 뚫리거나 깎이는 현상을 보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드라마를 보니 백야의 러시아 라고 하던데 백야현상 왜 일어나는거죠?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백야현상은 지구의 공전과 자전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주로 북반구에서는 여름철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북반구 기준으로 위도 48.55도 이상인 지역에서 나타나며, 이 때 태양의 최저 고도는 -18도 이상일 때 나타납니다. 북반구에서 여름철엔 태양을 바라보며 공전을 합니다. 즉, 태양빛을 많이 받는 시기입니다. 주로 6개월의 주기로 백야, 극야 현상이 나타납니다. 북반구에는 백야현상이라면 남반구에는 극야현상이 이뤄지며, 반대로 북반구가 극야현상이라면 남반구에서는 백야현상이 나타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싱크홀은 왜 생기게 되는건가요?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 속에서 생기는 블루홀, 도시나 산지 등에서 생기는 싱크홀 등이 생기는 이유는 같습니다.주로 홀이 생기는 장소의 지하에 단단하지 않은 지형이 무너지면서 생기게 됩니다. 주로 석회, 다져지지 않은 흙 등이 지하수, 지하로 스며드는 빗물 등에 의해 오랜 시간동안 녹아내리면서 지하에 조금씩 공간이 생기게 되면서 지상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게 될 때 홀이 생기면서 무너지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하루살이는 왜 하루 밖에 못 사는가요?
안녕하세요. 심헌용 과학전문가입니다.하루살이는 이름과 달리 평균 1년~3년의 수명을 유지합니다. 다만, 수명의 대부분을 유충 상태로 물 속에서 보냅니다. 그러다 성충이 되면 물 밖으로 나와 번식을 하고 생애를 마치는 과정을 거치지요.하루살이는 성충이 되어 교미를 마친 뒤 하루 이내에 죽는다. 라고 하여 이름을 갖게 되었지만, 성충이 된 후 1시간 이내에 죽거나 일주일 이상까지 생존하기도 합니다.물론 생명체는 온도나 먹이와 수명의 연관성이 매우 깊습니다. 유충일 때는 물속에서 바위나 자갈에 붙은 물때와 물에 있는 낙엽등을 먹고 사는 반면 성충이 되면서 입이 사라져 먹이 활동이 불가합니다. 먹이활동을 한다 하더라도 소량의 수분을 섭취하는 활동만 가능합니다. 유충 때 모아두었던 양분을 토대로 성충이 된 후, 번식과 생존을 하다 양분이 다 되면 생을 마감합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