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통기한이 지난 약은 어떻게 처리해야하나요?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윤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은 버리시는 것이 좋습니다.유통기한이 지나갔다고 해서 약성분이 0%가 되서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기본적으로 약성분이 감소하게 되 있어요.유통기한까지는 최소 90%이상의 약성분이 약 1알에 담겨있다면유통기한이 지나면 점점 약효가 감소해서 약성분이 50%, 40% 이런식으로조금밖에 안 남아 있게 되지요.그래서 유효기간이 충분한 약들엔 90%이상의 유효성분이 들어 있어서 적정용법에 맞게 드시면 약효가 생기지만,유효기간이 지난 약들은 한 알에 유효성분이 50%,40% 이런 식으로 조금 들어 있어서 한 번에 여러 알을 먹어야지만 겨우 약효가 나게 되고 이런 식으로 반복이 되다보면 약물 오남용이 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약의 유효기간은 꼭 지키시는 것이 좋고 유효기간 지난 약품은 폐기하시는 게 좋습니다.유통기한이 지난 약들을 그냥 버리면 환경오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가까운 보건소나 약국에 가져다주시면 보건소 또는 약국에서 폐기해 주십니다.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김윤하 약사 드림
Q. 직장인이 일요일 밤에 먹기 좋은 수면유도제, 어떤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전문가 김윤하 약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판매하는직접적인 수면을 유도하는 수면유도제는디펜히드라민 성분(단자민, 쿨드림 등)과독시라민 성분(아론 등) 2가지가 있습니다.제품명이 여러 가지여서 여러 다양한 성분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결국에 저 2가지 성분 중에 한 가지를 드시는 겁니다.감기약이나 비염약 드시면 졸리시죠?감기약, 비염약을 드시면 졸린 이유가 항히스타민제라는 약의 종류들 때문인데요.항히스타민제들은 감기에서 기침이나 콧물 등을 없애주는 역할을 한답니다.하지만 기본적으로 졸음의 부작용들을 가지고 있어요.위의 2가지 성분들은 항히스타민제들 중에서 거의 처음으로(1세대 항히스타민제)개발된 성분들이라 요즘 시중에서 처방되거나 약국가에서 감기약, 비염약으로 판매되는 항히스타민제들 보다 상당히 졸음이 많이 온답니다.그래서 요즘은 감기약, 비염약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고 약을 먹고 졸음이 오는 현상을 이용하여 수면유도제로 사용한답니다.위의 이야기를 드린 이유는요. 감기약을 좀 강하게 먹었다는 표현하시죠?감기약 먹고 졸려서 잤는데 그 다음날도 아침에 계속 찌부둥하고 졸린 느낌이 계속 가는 현상이 있는 경우 있잖아요? 그게 다 항히스타민제들의 졸음유도현상 때문입니다.따라서 위의 2가지 성분들도 드시고 난 후에 그 다음 날 기상했을 때 몸이 무거은 기분이라던가 졸리운 느낌이 오전시간 동안 이어질 수 있어요.그래서 금요일이나 토요일에 디펜히드라민 성분과 독시라민 성분을 각각 드셔보시고 그 다음날 기상했을 때도 졸린다거나 괜찮다거나 하는 것을 비교해보시면 본인 몸에 잘 맞는 수면유도제를 고르실 수 있을거에요.약국에서 약을 사실때는 제품명 대신에 "디펜히드라민성분, 독시라민성분 수면유도제 주세요. " 하시면 각각의 성분의 수면유도제를 구하셔서 드셔보실 수 있을거에요.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김윤하 약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