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윤민선 금융 세무 가상화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금융 세무 가상화폐 전문가입니다.

윤민선 전문가
프로에셋투자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세입자 이주비 문의드립니다 (집 구하기)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재건축 시 세입자가 받는 이주비는 법으로 정해진 고정 금액이 아니라 , 해당 지자체 조례 , 조합 내부 규정 , 협상 결과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특히 LH 전세임대 세입자의 경우에는 일반 세입자와 차이가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1) 일반 세입자의 이주비 산정 방식ㆍ 이사비(이주정착금) : 세입자가 새로운 거처로 이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보전하는 명목입니다.° 서울시 조례 예시 : 가구당 200만~300만 원 선° 일부 재건축ㆍ재개발 지역은 조합과 협의해 더 높게 책정되기도 함.ㆍ 이사 비용 실비 : 용달차ㆍ포장이사 등 실제 견적을 제출하면 실비로 지급하는 경우도 있음.ㆍ 영업 보상비 : 상가 세입자처럼 영업 손실이 있는 경우 , 영업이익ㆍ기간을 고려해 별도로 산정.(2) LH 전세임대 세입자의 경우ㆍ 원칙 : LH가 임대인(집주인) 이고 , 세입자는 LH와 계약한 임차인입니다.ㆍ 재건축이 확정되면 LH가 해당 주택을 반환하고 , 세입자는 LH가 제공하는 대체주택으로 이주하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ㆍ 이주비 직접 지급 여부 : ° 대부분 조합이 세입자에게 직접 이주비를 지급하지 않고 , LH와 정산하는 형태가 많음.° 세입자가 현금 이주비를 받기보다는 , LH가 이사비 지원 및 다른 전세임대 물건을 연결해 줍니다.ㆍ 다만 일부 조합은 LH 세입자도 일반 세입자와 동일하게 이주비를 지급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 조합 규약과 LH 조합 협약 내용을 확인해야 함.(3) 재건축 조합 조사원의 역할ㆍ 조사원은 세입자 현황 , 계약 형태 , 거주기간 등을 확인하여 보상 대상자 명부를 작성합니다.ㆍ 이때 LH 전세임대인지 여부 , 입주일 , 계약 관계 등을 명확히 기록해야 합니다.ㆍ 조사 후 조합이 보상 기준을 확정하면 개별 통보됩니다.(4) 정리하자면 : ㆍ 일반세입자 : 통상 200~300 만 원 내외의 이주비 + 이사 실비ㆍ LH 전세임대 세입자 : 현금 이주비가 아니라 대체주택 제공 + 이사비 지원이 주 형태ㆍ 변동 요인 : 조례 , 조합 규정 , 협상 여부에 따라 다름.ㆍ 조언 ° 조합 보상 기준표 확인° LH와의 계약 조항 검토 ° 필요 시 조합 - 세입자 간 개별 협의 요청따라서 조합에서 직접 현금 이주비를 지급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 일부 조합에서는 LH세입자에게도 일반 세입자와 동일한 이사비나 이주비를 지급하는 사례가 있을 수 있으므로 , 조합 또는 LH와 개별 확인이 필요합니다.다만 , 법령에 따라 보장되는 항목(예 : 주거이전비)의 경우 조건 충족 시 세입자에게도 법적으로 지급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완공을 앞둔 아파트의 조형도가 모델과 너무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 분양계약에서 모델하우스와 실물 시공 상태가 현저히 다른 경우 , 계약 해제와 계약금 반환 여부는 ' 분양계약서상 약정 내용 ' 과 주택법ㆍ민법상 하자ㆍ기망 여부가 핵심 판단 기준이 됩니다.(1) 계약 파기 가능성ㆍ 모델하우스와의 현저한 불일치 모델하우스는 분양광고의 중요한 근거가 되며 , 외관ㆍ조경ㆍ자재 등이 계약 내용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만약 광고ㆍ설명과 다르게 설계 변경이 이루어졌고 , 그 변경이 ' 중대한 사항 ' (예 : 단지 전체의 고저차 변경 , 1~3층 조망권 상실 , 출입구 구조 불편)을 초래했다면 , 이는 주택법 제18조 제2항(허위ㆍ과장 광고 금지)및 민법 제109조(착오) , 제110조 (사기)에 따른 계약 취소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ㆍ 중대한 설계 변경 요건주택법 시행령 제20조는 세대수 , 동수 , 주차대수 , 부대ㆍ복리시설 위치 , 조경계획 등 본질적 사항 변경 시 입주자 2/3 이상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합니다.동의 없이 중요한 변경이 있었다면 , 계약자는 이를 이유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2) 계약금 반환 가능성ㆍ 기망ㆍ중요사항 불고지분양사는 토지 양도 문제로 입구 설계를 변경할 사정을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사전에 알리지 않았다면 , 이는 ' 중요사항 불고지 ' 에 해당합니다.이 경우 민법 제110조(사기)에 따라 계약을 취소하고 계약금 전액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ㆍ 하자담보와는 구분완공 후 발견되는 ' 하자 ' 는 보수청구가 원칙이지만 , 지금처럼 입주 전 , 구조ㆍ위치 ㆍ자재 변경 등 계약 본질에 영향을 주는 사안은 ' 계약 해제 ' 범주에 들어갑니다.ㆍ 판례 경향법원은 조망권ㆍ일조권 상실 , 단지 내 고저차 심각한 변경 , 고급 자재를 저급 자재로 변경한 사례에서 ' 계약 당시 중요사항에 중대한 변경 ' 이라 판단하여 계약금 반환을 인정한 사례가 있습니다. (부산고법 2011. 11.08 선고 2009나 11501 , 11518 , 11525 , 11532 , 11549 , 11556 , 11563 , 11570 판결: 상고)결론적으로 , ㆍ 파기 가능성 : 광고ㆍ모델하우스와의 차이가 중대하고 , 사전 고지ㆍ동의 절차 없이 변경이 이루어졌다면 계약 해제 가능성이 높음.ㆍ 계약금 반환 가능성 : 기망ㆍ중요사항 불고지에 해당하면 전액 반환 청구 가능 .ㆍ 실무 조치 :° 모델하우스 자료 , 분양 광고 , 계약서 사본 확보° 변경 전ㆍ후 설계도면 , 현장 사진 , 시공자ㆍ분양사 발언 녹취° 입주예정자 단체 대응 및 변호사 선임° 분양대금 지급 거부 및 내용증명 발송따라서 입주예정자 단체가 분양사에 , 계약해제ㆍ계약금 반환요구 내용증명을 보내는 등 적극 대처를 해야만 분양사가 협상에 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반전세 전세반환보증보험 가입여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반전세(보증부 월세)계약에서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가입 시 , 보증금 산정 방식은 단순히 " 전세보증금 " 만 보는 것이 아니라 월세를 전세금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하여 기준 금액을 초과하는지 판단합니다.이는 ' 고액 월세 ' 계약이 보증보험을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규정입니다.보증금 환산 공식은 월세 1만 원당 전세금 200만 원(즉 , 5만 원당 1,000만 원)으로 계산합니다.예를 들어 , 보증금 1억 8천만 원에 월세 20만 원이면 , 월세 환산액은 20만 ÷ 5만 × 1,000만 = 4,000만 원이 됩니다.따라서 총 환산보증금은 1억8천 + 4천만 = 2억 2천만 원입니다.이 금액이 수도권 7억 원 , 비수도권 5억 원의 보증보험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 가입 가능하며 , 한도 판단은 반드시 ' 보증금 + 환산 월세액 ' 합계를 기준으로 합니다.즉 , 단순히 상한선 이하라고 해서 보증금만 보는 것은 아니며 , 월세가 낮더라도 합산 계산이 필수입니다.결론적으로 , 질문 주신 예시 (보증금 1.8억 + 월세 20만 원 -> 2.2억 환산)는 수도권ㆍ비수도권 한도 내이므로 가입이 가능하지만 , 심사 시에는 반드시 환산금액으로 판단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신축오피스텔 월세 계약시 전입신고문제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신축 오피스텔 월세 계약에서 전입신고를 잠시 늦추거나 해제해 달라는 요청은 임대인이 대출을 받기 위해 세입자의 ' 대항력 ' 을 일시적으로 없애려는 상황입니다.이 경우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보증금 보호 여부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1) 전입신고ㆍ확정일자의 법적 의미ㆍ 대항력 : 전입신고 + 실제 거주를 통해 제3자 (임대인의 채권자 등) 에게 임차권을 주장 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ㆍ 우선 변제권 : 확정일자를 받은 상태에서 경매 시 보증금을 배당받을 순위입니다.ㆍ 최우선변제권 : 보증금이 소액보증금 기준 이하일 경우 , 경매 시 최우선으로 일부 금액을 변제받을 수 있습니다.° 대구의 경우 (2025년 기준) 소액보증금 기준은 2,800만 원 이하 , 최우선변제금액은 2,300만 원입니다.(2) 전입신고를 해제했다가 다시 하는 경우의 위험ㆍ 전입신고를 해제하면 그 시점부터 대항력은 소멸합니다.ㆍ 만약 이 기간 중 임대인의 채무 불이행으로 근저당권자가 경매를 신청하면 , 임차인은 새로 전입한 시점 기준으로만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ㆍ 특히 임대인이 대출을 실행하는 순간 , 보증금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근저당이 설정될 수 있으며 , 이때 전입신고가 없었다면 임차보증금 전액이 위험해집니다.(3) ' 소액보증금 ' 이라도 안심할 수 없는 이유ㆍ 보증금 2,000만 원이면 대구의 소액보증금 기준 (2,800만 원) 이하이므로 최우선변제권 대상입니다.ㆍ 그러나 최우선변제금액은 2,300만 원이고 , 이는 경매 낙찰가에서 근저당보다 먼저 받는 금액일 뿐 , 만약 낙찰가가 낮게 형성되면 보증금 전액 회수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ㆍ 게다가 전입신고가 해제된 기간 중에 경매개시결정이 내려지면 , 소액보증금 우선변제권 자체가 무효가 됩니다.(4) 사기 가능성 여부ㆍ ' 사기 ' 라고 볼 여지가 있는 이유는 , 임대인이 대출을 받기 위해 임차인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의도적으로 포기하게 만들고 , 그 사이에 선순위 근저당을 설정하는 방식이 전형적인 깡통전세ㆍ보증금 미반환 위험 수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ㆍ 특히 신축 오피스텔 분양 단계에서 분양자금ㆍ중도금대출 전환 등의 사정으로 이런 요구가 많지만 , 세입자 입장에서는 매우 위험합니다.(5) 안전하게 계약하려면계약 전 : 임대인에게 대출 절차 완료 후 전입신고ㆍ확정일자를 받도록 하거나 , 대출 이후 입주를 협의합니다.계약서 특약 : " 임대인의 대출 실행과 무관하게 임차인은 즉시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를 받을 수 있으며 , 이를 이유로 계약 해제 또는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 는 조항 명시 .보증보험 가입 : HUG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이나 SGI서울보증에 가입해 , 혹시 모를 반환 불이행 대비.등기부 확인 : 대출 실행 시점에 근저당이 얼마나 잡히는지 , 보증금 회수 가능성을 사전 점검.결론적으로 , 현재 제안받은 방식은 임차인 입장에서 매우 위험합니다.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해제하는 순간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사라지고 , 그 사이에 근저당이 선순위로 잡히면 보증금 보호가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보증금이 소액보증금 기준 이하라 안전하다 " 는 말은 절대 100% 안전을 의미하지 않습니다.대출 절차가 끝난 뒤 입주하거나 , 보증보험 가입을 전제로 계약을 진쟁하는 것이 현실적인 안전 장치입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아파트 매매 중도금 협의 비율이 어느정도가 적당한지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 매매에서 계약금ㆍ중도금ㆍ잔금의 지급 비율은 법적으로 정해진 규정이 없으며 , 관행과 협상에 따라 달라집니다.일반적으로 계약금은 매매가의 5~10% , 중도금은 40~50% , 잔금은 40~50%수준이 많이 쓰입니다.이는 계약 체결 시 매수자의 진정성을 보장하고 , 매도자 입장에서는 거래 이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질문에서 제시한 계약금 10%+ 중도금 15%= 총 25% 라는 구조는 시장 평균보다 중도금 비중이 낮고 , 잔금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매수자 입장에서는 중도금이 적으면 자금 운용 부담이 줄어들고 , 잔금 지급 전까지 거래를 유연하게 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다만 매도자 입장에서는 잔금까지 받기 전 현금 유입이 적어 부담을 느낄 수 있으므로 , 매도자가 이를 수용한다면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결론적으로 , 계약금 10%는 일반적 범위이고 , 중도금 15%도 가능하지만 관행보다는 낮은 편입니다.실무에서는 중도금을 최소 40~50% 이상으로 맞추는 경우가 많아 , 매도자와의 협상에서 자금 사정ㆍ잔금일ㆍ대출 일정 등을 고려해 비율을 조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특히 첫 주택 거래라면 , 자금 계획과 대출 실행일을 기준으로 지급 일정을 맞추는 것이 안전합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아파트 전세 4년살고 2년연장하는데 확정일자, 전입신고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아파트 전세 계약을 연장할 때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시점은 법적 보호와 절세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이번 사례처럼 기존 전세 계약이 4년간 유지되었고 , 추가로 2년을 연장하는 계약서를 오늘 작성했지만 , 실제 계약 시작일은 10월 7일인 경우를 살펴보면 , 확정일자와 전입신고를 언제 하는 것이 맞는지가 관건입니다.먼저 확정일자는 새로운 계약서가 작성된 시점 이후 빠르게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왜냐하면 계약서에 기재된 ' 계약 기간 시작일 ' 이 10월 7일이라 하더라도 , 오늘 작성된 계약서 자체가 채권 우선순위(대항력과 우선변제권 확보) 의 근거가 되기 때문입니다.만약 확정일자를 늦추다 보증금 반환에 문제가 생기면 , 다른 채권자보다 후순위가 될위험이 있습니다.따라서 부동산에서 안내한 것처럼 오늘을 기준으로 한 달 이내에 확정일자를 받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됩니다.반면 , 전입신고는 이미 해당 주택에 거주 중이라면 재차 할 필요는 없습니다.전입신고는 최초 입주 시점에 한 번만 하면 계속 효력이 유지되므로 , 이번 연장 계약으로 인해 주소 변동이 없다면 다시 신고할 필요가 없습니다.다만 일부 지자체나 관공서에서 ' 갱신 사실 반영 ' 을 권하는 경우가 있으나 , 이는 필수 의무가 아니고 , 대항력에도 변동이 없습니다.정리하면 , 이번 상황에서는 확정일자 -> 새로운 계약서 기준으로 오늘부터 한 달 이내에 받는 것이 안전 전입신고 -> 주소 변동이 없다면 추가로 할 필요는 없음즉 , 계약기간이 10월에 시작하더라도 , 확정일자는 지금 받아도 전혀 문제가 없고 오히려 보증금 보호에 유리합니다.전입신고는 최초 전입 시 이미 했다면 유지하면 됩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경기도 오피스텔 반지하 매입했습니.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경기도 내 오피스텔 반지하 또는 다세대주택의 반지하층을 포함한 주택을 매입한 경우 , 향후 자연재해나 재개발 상황에서 보상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이는 주택의 구조적 위치인 반지하 특성과 법적 기준에 따라 차등이 생기기 때문입니다.(1) 자연재해 발생 시 보상 차이반지하 주택은 일반적으로 지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 침수나 배수 문제에 취약합니다.침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 정부나 지자체에서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으나 , 이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차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ㆍ 건축물 용도 및 등록 여부 : 주거용으로 정식 등재된 반지하 공간은 피해 발생 시 보상의 대상이 되지만 , 창고나 사무용으로 무단 전용된 경우는 보상 제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ㆍ 보험 가입 여부 : 풍수해 보험이나 화재보험 등 사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실제 배상금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ㆍ 지자체의 평가 기준 : 반지하는 ' 열악한 주거환경 ' 으로 평가되어 , 상대적으로 낮은 보상 단가가 적용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2) 재개발 시 보상 차이재개발(정비사업) 과정에서는 감정평가를 통해 보상금이 산정됩니다.이때 반지하 공간은 일반적인 지상층에 비해 다음과 같은 이유로 보상금이 낮게 책정될 수 있습니다.ㆍ 일조권 , 환기 , 조망 등의 가치 저하 : 반지하는 이러한 권리가 제한되어 감정평가상 ' 일부 감가 요소 ' 로 적용됩니다.ㆍ분양 자격 및 우선권 : 주거로 사용 중이더라도 , 건축물대장상 ' 지하 ' 로 표기된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재개발 분양 자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ㆍ 지분 및 용적률 영향 : 전체 대지면적과 용적률은 감정평가에 영향을 미치지만 , 반지하가 연면적 산정에 포함되더라도 지하층은 용적률 계산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그만큼 분양가치나 권리가 약화될 여지가 있습니다.결론적으로 , 반지하 주택은 실거주 목적이거나 임대 수익을 목적으로 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비용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지만 , 자연재해나 재개발과 같은 장기적 관점에서는 보상 및 권리 측면에서 불리할 가능성이 있습니다.특히 감정평가에서 낮은 가치를 인정받거나 , 재개발 시 우선 분양자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부동산 이미지
Q.  부모님 집에 거주 중인데 세대분리가 유리할까요? 아님 다른 곳으로 전입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윤민선 공인중개사입니다.부모님 집에 거주 중인 상태에서 세대분리를 유지하는 것과 다른 곳으로 전입하는 것 사이의 선택은 청약 및 주택 구입 시 세제 혜택 , 자산 기준 , 실거주 요건 충족 여부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항목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1) 세대분리 상태에서 부모님 집에 계속 거주할 경우의 장단점° 장점 ㆍ 청약 가점제 적용 가능 : 무주택 세대주로서 일정 기간 이상 유지하면 청약 가점제 대상이 됩니다.부모님이 집을 소유하고 있어도 세대가 분리되어 있다면 무주택으로 간주됩니다.ㆍ 거주요건 인정 가능성 : 실제 거주하고 있다면 전입일 기준 실거주 요건이 충족될 수 있어 , 생애최초 특별공급 등 조건을 맞출 수 있습니다.(2) 단점 및 주의사항 ㆍ 거주지와 주소지가 일치하지 않는 모순 : 실제로는 부모님 집에서 거주하면서 다른 주소지로 세대분리만 해놓은 경우 , 정부에서 ' 위장전입 ' 으로 판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ㆍ 주택구입 시 취득세 중과 위험 : 1세대 1주택 요건을 판별할 때는 실제 거주보다 가구원 기준을 보기 때문에 , 형식적으로만 세대를 나눴을 경우라도 부모님과 같은 주소지에 거주 중이면 1세대 판단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2) 주택 구매 시 유불리 판단° 청약과는 별개로 , 실거주 요건이나 세금혜택을 보려면 ' 독립된 실세대 ' 가 중요.ㆍ 생애최초 , 신혼부부 , 다자녀 등의 특별공급 요건 중 상당수가 ' 세대 기준 ' 의 무주택요건 , 소득ㆍ자산 기준 등을 요구하므로 , 부모님의 자산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ㆍ 또한 , 취득세 감면 등도 세대 단위의 무주택 요건을 따지기 때문에 부모님과 주소가 같다면 1세대로 간주되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실제 거주 + 전입상태가 일치해야 실거주 인정을 받음ㆍ 예를 들어 어머니 명의의 집에서 실거주하지만 주소지는 다른 곳이라면 , 실거주 요건 충족이 어려워 청약 및 비과세 요건 충족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3) 부모님이 다른 곳으로 전입하는 방법의 유불리부모님이 본인 명의의 집을 보유하면서 주소지는 친척집 등으로 전출하여 자녀 세대와 분리하려는 경우 ,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효과ㆍ 자녀가 실질적인 세대주로 구성되며 , 부모의 자산 및 주택이 자녀 세대에 반영되지 않음.ㆍ 자녀가 1세대 1주택으로 주택 구입 시 취득세 감면 등의 혜택을 받을 가능성 있음.ㆍ 부모의 기존 보유주택은 자녀 세대와 무관하게 판단되어 향후 증여ㆍ상속 시 유리할 수 있음.°° 단점ㆍ 부모가 실제로 해당 주소지에 거주하지 않는다면 위장전입이 될 위험이 있으며 , 조사 시 불이익 가능.ㆍ 주소만 옮겼다고 해서 세법상 완전한 세대분리로 인정받기 어렵고 , 실제 생계ㆍ주거 분리 여부를 종합적으로 따짐.(4) 결론 및 전략적 조언ㆍ 청약 목적이라면 : 실거주 + 전입지 일치가 중요하므로 , 실제 주소지에서 독립세대주로 거주하며 자산요건 충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ㆍ 주택 구매 목적이라면 : 무주택 1세대 여부가 중요하므로 , 실거주 + 실세대 분리가 인정받을 수 있는 구조로 정리해야 합니다.ㆍ 부모와 실거주하면서 세대만 분리한 경우 : 세제 혜택이나 청약에서 ' 위장 분리 ' 로 판단될 위험이 있으므로 ,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를 일치시키는 것이 원칙입니다.ㆍ 부모님이 전입지 옮기고 자녀가 실세대 구성하는 방안은 , 실제 거주와 생계 분리가 가능할 경우에만 추천됩니다.단순히 혜택만 노리고 위장으로 진행하면 제재 가능성이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ㆍ 세대분리 유지 시° 유리한 조건은 : 실제 주소지도 분리 & 실거주 시° 불리한 조건은 : 실거주는 부모님 집인데 주소만 따로인 경우 (위장 전입 의심)ㆍ 주택구입 시 ° 유리한 조건은 : 1세대 1주택 요건 충족 가능° 불리한 조건은 : 부모 자산이 영향을 주면 혜택 축소ㆍ 부모님 전출 시° 유리한 조건은 : 자녀가 실세대주 되면 혜택 있음.° 불리한 조건은 : 실거주가 아니면 위장전입 문제 발생함.결론적으로 , 구체적인 사례나 조세 조항에 따라 자산 현황 , 주소지 , 목적(청약/주택구매) 등에 맞는 맞춤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파이네트워크가 바이낸스에 상장한다는 썰이 돌던데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 커뮤니티 중심으로 " Pi Network가 8월15일 바이낸스에 상장된다 " 는 루머가 퍼졌지만 , 현재까지 바이낸스 측이나 Pi Network 에서 공식 발표는 전혀 나오지 않은 상태입니다.ㆍ 실제로 Pi 앱 내에서 Binance Connect , Binance P2P 기능이 연동된 점은 infrastructure 레벨에서의 제휴 가능성을 염두에 둔 신호일 수 있으나 , 이는 아직 공식 상장과는 직접 연결되지 않습니다.ㆍ 주요 분석가 (DR. Altcoin , Kim Wong 등)에 따르면 , 바이낸스가 Pi를 아직 상장하지 않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KYB (Know Your Business)등 프로젝트에 대한 검증 절차가 엄격해 , Pi 측이 제안한 조건이 과도하거나 수용되지 않았다는 점° 토크노믹스 불투명성 - 총 발행량 , 공급 및 배분 로드맵이 명확히 공개되지 않음.° 블록체인 코드 미공개 및 보안감사 미완료 - 상장 전 요구되는 외부 감사 및 오픈소스 기준에 미흡현재 Pi는 OKX , Gate.io , MEXC , Bitget 등 일부 거래소에 상장되어 하루 $1억 이상 거래량을 기록하는 등 활발히 거래되고 있지만 , 바이낸스 상장은 미정이며 2026년 이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상장 시나리오 : 가능성과 파급력만약 Pi가 바이낸스에 실제로 상장된다면 ,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상장 발표 (+ p2p 지원) -> 기대감 형성 -> 단기간 내 가격급등 (예 : 100%~300%)현물ㆍ선물ㆍ마진 등 바이낸스 트레이딩 개시 -> 전 세계 사용자 접근성 급증 -> 유동성 폭발시장 조정 -> 일부 초기 투자자 수익 실현 -> 가격 변동성 확대생태계 발전 기대감 -> 커뮤니티와 개발자 유입 증가 -> 장기적 가격 안정 및 성장 기반 마련즉 , 상장 자체는 가격 급등과 유동성 증가를 동시에 일으킬 수 있으나 , 토큰 설계 및 커뮤니티 신뢰가 갖춰지지 않으면 후폭풍도 클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Ethereum)의 년도별 주요 가격 흐름아래는 2015년부터 2025년 현재까지 이더리움(ETH)의 평균 및 연말 종가 , 최고가와 최저가를 정리했습니다.연도 : 2015연 평균가 : $0.95최고가 : $3.54최저가 : $0.42연말 종가 : $0.93연도 : 2016연 평균가 : $9.76최고가 : $21.52최저가 : $0.93연말 종가 : $7.97연도 : 2017연 평균가 : $222.60최고가 : $881.94최저가 : $7.98연말 종가 : $756.73연도 : 2018연 평균가 : $483.69최고가 : $1,433최저가 : $82.83연말 종가 : $133.37연도 : 2019연 평균가 : $181.33최고가 : $365.07최저가 : $102.39연말 종가 : $130.20연도 : 2020연 평균가 : $307.66최고가 : $753.89최저가 : $89.35연말 종가 : $737.11연도 : 2021연 평균가 : $2,775최고가 : $4,858최저가 : $717.53연말 종가 : $3,679연도 : 2022연 평균가 : $1,982최고가 : $3,883최저가 : $1,008연말 종가 : $1,196연도 : 2023연 평균가 : $1,792최고가 : $2,441최저가 : $1,194연말 종가 : $2,281연도 : 2024연 평균가 : $3,046최고가 : $4,109최저가 : $2,112연말 종가 : $3,336연도 : 2025연 평균가 : $2,561최고가 : $3,940최저가 : $1,384연말 종가 : ${종합 요약}ㆍ Pi Network의 바이낸스 상장 루머는 현재 공식 확인이 전혀 없는 상태이며 , 바이낸스측도 코멘트 하지 않고 있습니다.ㆍ 상장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으나 , 토크노믹스 공개 , 블록체인 오픈 소스화 , 보안 감사 통과 , KYB 절차 완료 등 조건이 갖춰져야 합니다.ㆍ 실제로 상장된다면 유동성 폭발 , 가격 급등 , 단기 조정이라는 전형적인 흐름이 예상됩니다.ㆍ 이더리움의 가격 추이는 초기 성장부터 2021년 최고점 , 이후 조정 후 상승 흐름으로 이어지며 , 최근 1년간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위지윅스튜디오주식 너무 떨어지는데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위지윅스튜디오(192410)는 최근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사고 있습니다.2025년 8월 기준 , 주가는 700원 대까지 떨어지며 역사적 저점에 근접하고 있습니다.이 같은 하락세는 단순한 주가 변동을 넘어 , 기업의 펀더멘털 , 시장 신뢰도 , 산업 환경 전반에 대한 재점검을 요구하게 합니다.(1) 주가 하락 원인 분석ㆍ 실적 부진 : 위지윅스튜디오는 콘텐츠 제작 , VFX(시각 특수효과) 기술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 기업이지만 , 수익성과 성장성 모두 최근 실망스러운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실적이 지속적으로 악화되면서 투자자 이탈이 가속화된 것으로 보입니다.ㆍ 자회사 이슈 : 관련 계열사들 (메타버스 , 콘텐츠 제작 , 영상 플랫폼 등)과의 구조적 시너지 효과가 기대만큼 나타나지 않거나 , 오히려 재무적 부담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ㆍ 투자자 신뢰 하락 : 과거 공격적인 인수합병(M&A)이나 NFT/메타버스 테마에 올라탔던 시기에 비해 , 지금은 이렇다 할 모멘텀이 없는 상황입니다.특히 성장 스토리가 퇴색되면서 주가도 지지선을 잃고 무너지는 중입니다.(2) 기술적 관점에서의 진단700원 대는 과거 수년간 주가 흐름에서 지지선으로 작용했던 구간이며 , 일종의 ' 투심의 바닥 ' 으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그러나 뚜렷한 반등 모멘텀이 없다면 , 추가 하락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ㆍ 거래량 감소는 매수 대기세력이 적다는 뜻이며 ,ㆍ 기관과 외국인의 이탈은 반등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입니다.(3) 앞으로의 전망ㆍ 비관적 시나리오 : 실적이 회복되지 않고 , 추가 자금조달(유상증자 등) 이나 상장폐지 요건 논란이 불거질 경우 , 주가는 더 하락하거나 장기 침체에 빠질 수 있습니다.ㆍ 낙관적 시나리오 : 새로운 대형 프로젝트 수주 , 콘텐츠 히트작 공개 , 혹은 M&A나 정책 수혜 등의 외부, 모멘텀 발생 시 단기 급등 가능성도 존재합니다.특히 영화ㆍ콘텐츠 관련 테마가 재조명되면 관심을 받을 여지는 있습니다.(4) 투자자 전략ㆍ 보유자 : 추가 하락 가능성을 감안하여 손절 기준선을 명확히 설정하고 , 기술적 반등 시 분할 매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ㆍ 관망자 : 지금은 실적 회복이나 외부 모멘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 섣부른 저가 매수는 위험합니다.오히려 분기 실적 발표 이후 기업의 생존력과 전략 변화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결론적으로 , 위지윅스튜디오의 현재 주가는 시장의 냉정한 평가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주가가 많이 하락한 만큼 , 반등에 대한 기대도 존재하지만 , 이는 단순한 ' 기대심리 ' 만으로는 실현되지 않습니다.냉철한 기업 분석과 시황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며 , 특히 추가 악재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핵심이 됩니다.반등을 기대하기보다는 , 리스크를 먼저 방어하는 자세가 지금은 더욱 중요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