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국시대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자료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이외에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측 사료는 «한서», «후한서», «삼국지», 남북조시대의 역사서인 «남사», «북사»,«수서», «구당서», «신당서» 등이 있습니다.일본측 사료로는 «일본서기» 등이 있습니다.«삼국사기» 같은 경우도 남아 있는 우리 사료와 중국측 역사 자료를 참고하여 제작되었습니다.그외에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삼국시대의 금석문 자료들에서 당시의 시대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가령 고구려의 , 나신라의 진흥왕순수비들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Q. 왕의 호칭 태조또는태종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왕의 묘호에 조와 종이 붙는데에는 대략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조는 왕실의 창업자를 의미하며, 그 뒤를 이은 계승자들은 종으로 표현- 조는 공이 있는 자에게, 종은 덕이 있는 자에게 올림이러한 기준으로 보았을 때 고려왕조는 태조 이후의 모든 왕들에 종의 묘호를 올려 1번의 기준을 충족하였습니다.반면 조선시대의 경우는 1번과 2번이 뒤섞여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왕조를 세운 이성계에게는 "조"를 올렸고, 그 뒤를 이은 태종ᆞ세종에겐 "종"을 올렸죠.그러나 세조, 선조, 인조 같은 경우는 그 공적을 높이 평가하여 조의 묘호가 붙었습니다.
Q. 진시황이 불로초를 구하기 위해 신하들을 보냈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마천이 쓴 역사서 «사기» 가운데 를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옵니다."내가 전에 천하의 쓸모없는 책들을 거두어 모두 불태우게 하고, 학자와 방사들을 아주 많이 모조리 불러 모아 태평을 이루려 했더니 방사들이 단약을 구워 기이한 약을 만들자고 했다. 지금 듣자하니 한중(韓衆, 한종)은 가더니 소식이 없고, 서불 등은 거금을 쓰고도 끝내 약을 구하지 못했다. 간사한 놈들이 서로 이익을 챙기고 고발한다는 말만 날마다 듣고 있다. 노생 등을 내가 존중해서 잘 대했거늘 지금 나를 비방하며 나의 부덕을 무겁게 하고 있다."이 글은 시황제가 자신을 속이고 도주한 술사 노생, 후생의 일을 듣고 내뱉은 말을 적은 것입니다.보시면 아시겠으나 글의 단약이 곧 불사약을 말합니다. 서불은 시황제에게 신선이 사는 곳을 찾는다며 사기를 쳤고, 노생은 시황제에게 이러이러해야 불사약을 찾을 수 있다며 사기를 친 사람입니다.따라서 이 기록을 토대로 봤을 때 진의 시황제가 불사약에 관심을 두고 이를 찾으려 했던 일이 있긴 했습니다.
Q. 우리나라 근현대사 중 10월 유신 헌법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장세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69년, 재선 중인 박정희 대통령은 정권을 연장하고자 헌법을 개정하여 3선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의 김대중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습니다.그러나 이때 표 차이는 100만 표도 되지 않아 제6대 대통령 선거 때보다 상황이 악화되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즉, 박정희 정부의 연장에 브레이크가 걸린 것이지요.아니나 다를까 1970년대에 들어 자유 진영의 우방국 미국은 닉슨 행정부가 들어서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우호 관계를 형성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냉전의 완화라 하여 "데탕트"라고 부릅니다. 반공주의를 정권의 핵심으로 내세웠던 박정희 정부로서는 당황스러운 현상이었죠.더욱이 국내에서는 산업화의 부작용에 따른 노동자들의 반발이 거셌습니다. 전태일의 분신 사건, 파월 노동자들의 대한항공 건물 점거 및 방화 사건 등 내부적으로 박정희 정부는 위기를 맞았습니다.따라서 박정희 정부는 "풍년사업"이란 이름으로 유신 헌법 개정의 밑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하여 1972년 10월 17일,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뒤 대통령 특별선언을 발표하였습니다.이에 따라 11월 21일 국민투표를 거쳐 유신헌법이 확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새 헌법에 따라 제8대 대통령 선거를 치렀고 박정희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제4공화국 유신 시대로 돌입하였습니다.유신 헌법은 대통령에게 초헌법적 권한을 부여하였고, 국민의 기본권을 박탈한 헌법이었습니다. 그 주요 내용으로는,-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의 대통령 간선제 실시- 대통령의 긴급조치권, 국회해산권, 국회의원 및 법관 임명권 명시 * 국회의원의 1/3에 해당하는 숫자를 유신정우회를 만들어 충당하도록 했고, 이 정우회 후보를 대통령이 결정- 국회의 국정감사권 박탈, 대통령 탄핵소추권 부정- 국민의 기본권 제한(언론,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등이 있습니다.이러한 비정상적인 조치는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면서 막을 내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