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최윤창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윤창 전문가입니다.

최윤창 전문가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6세 남자아이입니다.덥거나 열이나면 긁은 자리가 부어오르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대부분 나이가 들면서 호전되니 너무 걱정해 않으셔도 됩니다. 가려움이 심하면 항히스타민 시럽을 먹여도 되고 저자극의 보습로션을 발라주셔도 됩니다.피부묘기증dermographism정의피부 묘기증은 두드러기의 일종으로, 물리적인 원인에 의한 두드러기로 분류된다. 피부를 어느 정도 이상의 압력을 주어 긁거나 누르면, 그 부위에 국한되어 두드러기와 유사하게 가렵고 붉게 변하면서 부어오른다. 그 결과 마치 피부에 글씨를 쓴 듯한 양상으로 보이게 된다. 약한 자극에 의해서도 온몸의 피부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고, 가려워서 긁으면 더욱 심하게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5% 정도에서 나타나고, 대개 만성적인 경과를 보인다.이미지 갤러리 가기원인피부묘기증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하지만 갑상선 질환, 당뇨병, 감염증과 같은 전신 질환이나 임신, 폐경기, 약물, 스트레스 등에 의해 악화된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반 질환 없이 피부묘기증만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흔하다.증상피부묘기증은 단순히 피부의 부종과 발적만 나타나는 단순피부묘기증(simple dermographism)과 발진부위에 가려움을 동반하는 증상성 피부묘기증(symptomatic dermographism)으로 나눌 수 있다.진단/검사피부묘기증의 진단은 임상 증상만으로도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지만 유발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손톱이나 펜 등을 이용하여 적당한 압력으로 피부를 긁은 뒤 수분 동안 관찰하면 마치 글씨를 쓴 듯한 양상으로 긁힌 부위가 붉게 부어 오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치료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치료는 대개 증상 조절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두드러기와 마찬가지로 항히스타민제가 가장 중요한 약제이다. 피부묘기증이 발생하는 빈도와 정도에 따라 투여 용량을 조절한다. 증상이 심할 경우 여러 가지 항히스타민제를 복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경과/합병증피부 묘기증은 가려움 이외의 특별한 증상은 없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히 증상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예방방법완전한 예방은 불가능하다. 피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조이는 옷이나 속옷, 과격한 운동과 같은 유발요인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아주 작은 스침에 의해서도 피부묘기증은 발생할 수 있다.출처-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초음파 검사 결과 해석 좀 부탁 드릴게용 ㅜ
안녕하세요. 갑상선 오른쪽 엽에 3.7mm 물혹이 있고 목 좌측 측면 SCM근육의 가장자리에 있는 림프절이 약간 커져있다는 소견입니다. 초음파상 갑상선 혹은 5mm 이하로 아직 당장 처지가 필요한 단계는 아닌것으로 보이며 주기적으로 초음파 관찰해볼것을 권유드립니다.경부림프절은 면역반응의 항진이나 증상이 경한 림프절염, 상기도감염 등으로 인일시적으로 커질수도 있습니다. 초음파상으로도 형태나 모양상 양성으로 보이는 소견이니 일단은 경과관찰 해보시고 딱딱해지거나 크기가 갑자기 커지거나, 주위 조직과 유착이 심해지면 바로 병원에 내원해보셨으면 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심장초음파로 부정맥인지 아닌지 바로 알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심초음파로는 심장이 잘 뛰는지, 역류하진 않는지, 구조적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수 있지만 부정맥을 진단하는 수단으로는 제한적입니다. 구조적이상이 있으면 부정맥의 원인이 될수도 있겠지요.부정맥은 보통 심전도로 진단합니다. 간헐적으로 증상이 발생하여 병원에서 검사가 어려운 경우 24시간 홀터 심전도기를 착용하게 하여 일상생활 도중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심전도리듬을 기록할수 있습니다.빈맥같은 경우 갑상선 항진증, 약물이나 커피 등의 복용, 불안장애 및 기타 정신과적 질환 등 다른 질환에 의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피부과
피부과 이미지
Q.  군대에서 무좀이 발생한지 30년이 넘었는데 무좀해결방법 은?
안녕하세요. 손발톱무좀은 다른 무좀과 달리 바르는 약보다 먹는약이 훨씬 효과적입니다.피부과 등을 내원해 항진균제 등을 복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손발톱을 청결하게 관리하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다리와 발바닥에 무언가 생겼는데 가렵네요 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사진상으로는 정확히 알수 없으나 특발성 두드러기 혹은 알레르기성 피부염으로 보입니다.많이 가려우시면 스테로이드제 연고를 바르시거나 피부과 방문 권유드립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왼쪽가슴의 비특이성 흉통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호흡시 심해지는 가슴통증의 원인은 협심증, 늑막염, 심낭염, 기흉, 갈비연골염 등 다양합니다추후 주기적인 검사와 약복용을 잘하시고 혈압, 지질강하제, 혈전용해제 등을 잘 복용하셔겠습니다. 협심증 같은 경우 설하질산염이나 진통제 등을 복용하면 증상이 호전될수 있으나 약복용 전 순환기내과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셔야 겠습니다.
비뇨의학과
비뇨의학과 이미지
Q.  남자 성기 위쪽 두드러기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말씀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보통 귀두 아래에 좁쌀 크기의 뾰루지는 진주양구진이나 포다이스반 같은 정상구조의 가능성이 높고대부분 특별한 치료는 필요없습니다확인차 비뇨의학과만 방문해보시면 좋을 것같네요 감사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가장 최근에 성관계했던 사람을
안녕하세요. 사진상으로는 정확히 알기는 힘들지만급성 편도염 내지 아데노이드염, 인후염, 펀도 주위 림프선염 등을 의심해볼 수 있겠습니다. 급성편도염 정의급성편도염이란 편도를 구성하는 혀 편도, 인두편도, 구개편도 중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을 말하며,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후염이 동반될 수 있다.이미지 갤러리 가기편도선원인가장 흔한 원인균은 β 용혈성 연쇄상구균 (S. pyogenes) 이며, 이 외에도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Haemophilus) 및 다양한 혐기성 균주들도 원인균이 될 수 있다. 바이러스도 급성 편도염의 흔한 원인 병원체이며, 그 종류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콕사키 바이러스(coxsackievirus), 에코바이러스(echovirus),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호흡기세포융합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등이 있다.학교에 들어가기 전의 아이들은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고, 그 이후의 아이들은 세균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는 보고가 있다. 급성 편도염은 대개 청년기 또는 젊은 성인에서 잘 발생하며, 다른 연령층에서는 상대적으로 발생률이 낮다. 선행하는 요인은 피로, 저온이나 고온에 노출, 상기도 감염, 대사성질환 및 면역질환 등으로 알려져 있다.증상대부분의 경우 갑작스러운 고열과 오한이 나타난다. 뒤이어 인후통이 발생하고,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후염이 생길 수 있고, 인두근육에 염증이 생기면 연하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환자는 두통, 전신 쇠약감,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증상을 호소한다. 혀의 표면이나 구강 내에 두껍고 끈적끈적한 점액이 있을 수 있다. 압통성의 경부임파선 비대 역시 흔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개 4~6일 정도 지속되고, 합병증이 없으면 점차 사라진다.진단/검사급성기에는 인후검사상 충혈되고 비대해진 편도가 관찰되고 부분적으로 흰색 삼출액으로 덮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삼출액이 덮인 정도는 환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삼출액은 대개 편도와에 국한되어 있으며 특히 편도음와의 입구부에 생긴다.세균성 편도염의 원인균 감별은 병력 청취 및 이학적 검사와 인두 도말 검체를 이용한 배양 검사나 신속항원 검사가 도움이 된다. 배양검사의 결과는 수일이 걸리지만, 신속항원검사는 수 분 내에 결과를 알 수 있고 특이도가 90% 이상으로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콧물, 코막힘, 기침, 결막염, 쉰 목소리, 설사, 구강 궤양 혹은 수포성 구강병변이 등이 있는 경우, 세균성 급성 인두편도염보다 바이러스성 급성 인두편도염의 가능성이 높다. 반면, 삼킴곤란(연하곤란), 인후통, 발열, 두통, 복통, 오심, 구토 또는 연구개의 점상출혈, 경부 림프절 종대 및 성홍열 양상의 발진은 세균성 급성 인두편도염, 특히 S.pyogenes 감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치료치료는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누어 볼 수 있다.비수술적 치료는 염증을 제거하고 증상 완화를 위한 적절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다. 필요하면 진통제를 투여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제제나 아스피린 계열의 약물만으로도 충분하다. 세균성 편도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전신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페니실린(penicillin),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e) 등이 많이 사용되는데,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e)은 학동기 아이들에게 치아에 검게 착색을 일으키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와 몸무게를 고려해서 정한다. 사용 전에 세균배양검사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고, 항생제를 투여하기 시작했다면 7~10일간 충분히 써야 한다. 환자가 탈수 증세를 보이거나 집에서 간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아니면 입원은 필요하지 않다.수술적 치료로는 편도절제술이 있다. 편도절제술은 재발성 편도염에서 가장 흔히 시행되며 이 경우 치료 효과가 좋다. 다른 치료법을 충분히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년에 3~4회 이상 편도염이 재발하는 경우에 편도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다. 편도비대로 인하여 치아부정교합이 생기거나 안면골 발달의 장애가 생길 때에도 수술을 권할 수 있다. 항생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 편도주위농양이 생긴 경우도 수술의 대상이 되는데, 급성기에는 흡인 천자나 절개 배농을 고려하고 이후 급성기를 피해서 수술을 고려한다.경과/합병증급성 편도염은 대개 자연적으로 증상이 좋아지며 세균성 급성 편도염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 투약 후 48-72시간 이내에 치료 반응을 보이기 시작하여 4-5일 이내에 임상 증상이 호전된다. 급성 인두편도염의 화농성 합병증은 편도주위농양, 측인두 강 농양 (parapharyngeal abscess), 임파선염, 부비동염, 중이염, 유돌염 (mastoiditis), 괴사근막염 혹은 독성쇼크증후군 등이 있다. 또한 염증으로 인한 편도주위의 부종은 기도의 폐색을 일으킬 수 있다. 먼 장기들인 폐, 뇌, 심장 등으로 감염이 퍼질 수도 있다.예방방법평소 구강위생을 유지하고 자주 손을 씻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예방적인 항생제 치료는 권장되지 않는다.식이요법/생활가이드수분 공급을 충분히 하고, 인후염 등으로 인하여 음식물을 삼키기가 힘든 경우에는 죽과 같은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다.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며 위생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희석한(3%) 과산화수소수 또는 가온한 생리식염수가 입안 청결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관련질병화농성 합병증으로 편도주위농양, 측인두강 농양(parapharyngeal abscess), 임파선염, 부비동염, 중이염, 유돌염(mastoiditis)출처-서울대병원
내과
내과 이미지
Q.  내시경과 피검사의 차이점이 있는 건가여?
안녕하세요. 간이나 췌장암, 대장암, 전립선암 등이 발병하면 피검사에서 암특이 항원성분이 올라가긴 합니다. 하지만 피검사로 수치가 높게 나오면 의심해볼수는 있지만 암을 진단하거나 확진할수는 않습니다. 암 이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증가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보통 암치료 후 예후나 전이, 상태를 판단하는데 주로 사용합니다.확진이나 선별검사는 일반적으로 내시경과 조직검사로 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좋은 콜레스테롤(HDL)을 높이는 방법 없을까요?
안녕하세요.niacin 계열이나 오메가3 계열 약이 HDL 상승을 시키는 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실제로 가장 입증된 HDL 증가요법은 운동입니다.다만 심혈관계 질환과 상관성은 HDL보다 LDL수치를 관리하는 것이 훨씬 중요합니다.
1234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