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와 독서토론을 할때 선택 할수 있는 책은 어떤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우리 아이가 독서 토론을 하려고 한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토론이 일반적인 토론이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단순한 토론이 아닌 재미와 심미와 행복감, 그리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단 한번의 토론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조건들입니다.첫째, 어른의 기준으로 어떤 책을 선택할 것인지가 아니라 우리 아이가 가장 좋아하는 분야를 관찰이 필요합니다.둘째, 전해동화, 창작동화, 위인전, 사회과학,음악 미술 등등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합니다.세째, 관찰력과 탐구력을 위한 토론을 권합니다.예를 들어 공룡을 좋아하는 아이라면하나의 동물을 선택해서 초식인지 육식인지 또는 몸의 크기나 생김같은 것을 구체적이며 깊은 토론이 가능합니다.네째, 토론이 끝나면 함께 이야기를 해서 들거웠다는 말과 함께 칭찬을 잊지 마세요.그리고 다음에 이야기 할 책을 함께 미리 정해 두는 것도 잊지 마세요.응원합니다
Q. 노는게 중요하다고 하는데, 어느정도 놀이 시간이 필요한걸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일반적으로 학교에 가면 많이 놀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학교 생활에도 규칙이 있기에 마음껏 놀 수는 없다고 봅니다.40분 수업에 10분 정도 쉬는 시간은 놀이 시간보다는 화장실 가기, 물 마시기, 다음시간을 위한 준비물 챙기기 같은 잠깐 동안의 시간 활용시간입니다. 그나마 놀이 시간이 있다면 점심 식사 후 20~30분 정도인데 우리 아이가 음식을 먹는 속도에 따라 그 시간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귀가 후에도 아이들이 수행해야 할 과제가 많을거라고 봅니다. 지금의 우리 아이들은 과거의 아이들처럼 부모님이 부를 때까지 맘껏 놀수 있는 시간이 없다고 봅니다.제가 권하고 싶은 것은 과제 수행 이외의 시간은 마음껏 놀이를 하고 진짜 즐기는 시간을 갖도록 배려해 주시면 좋겠습니다.놀이는 그냥 노는 것이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한 놀이을 통해1. 협동심을 배우고체력증진을 할 수 있고두뇌의 회전 능력도 빨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잘 놀 줄 아이가 무엇이든 적극적이며 긍정적이라는 것도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