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최고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아동전문가 황정애입니다.

최고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아동전문가 황정애입니다.

황정애 전문가
책 읽어주는 문화봉사단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어린이들은 왜 채소와 콩, 버섯에 이어 생선도 싫어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들이 야채나 생선을 싫어하는 것은 크게 이상한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아이들의 미각이 예민할 뿐만 아니라 냄새나 향에도 민감하기 때문입니다.특히 야채는 그 식감과 생야채에서의 쓴맛, 생선의 비릿함에 민감하게 반응을 할 것입니다.야채를 많이 먹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여러가지 야채를 넣은 피자를 만든다거나 다져서 동그랑 땡을 만들어 먹이는 것도 추천합니다.도서관에 가셔서 야채과 관련된 재미있는 책들도 많이 있으니 함께 읽고 긍정적인 이야기를 많이 나누시면 점차 개선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가 또래보다 키가 작을 때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살면서 키라든가 외모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지만유난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모지상주의인 것 같습니다.이 또한 기성세대부터 외적 조건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것을 개선해야하고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부분이 아닌가합니다.우리 아이의 있는 그대로를 칭찬해 주시기 비랍니다. 우리 아이는 우리 모두의 희망이고 꿈이라는 것도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칭찬하기에서 주의점은 외적 조건이 아닌 잘하는 것 가령 노래, 만들기, 운동, 미술 등 잘 하는 것을 칭찬하고 독려해 주시기 바랍니다.위인들 중에서 강감찬, 전봉준장군이나 모짜르트 알렉산더, 나폴레옹 등이 등장하는 책이나 위인전기를 읽어 주시거나 우리 아이에게 읽도록 권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남다르지만 특별함을 알게되고 자신감도 더불어 상승 될 것입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기 훈육은 언제부터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우리 아이가 내것도 내것 남의 것도 내것 처럼주장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기가 되었네요.어른들과의 의사 소통은 우는 것으로 더욱더 강력하게 자기 의사를 표현할 시기이기도 합니다.야단을 치면 더 큰 소리로 울기도 할 것입니다.이제 아이의 수준에 맞춰 대화를 할 시기가 된 것 같습니다.가령 원하는 것을 두개나 3개 한꺼번에 주기 보다는 1개를 주면서 왜 1개를 주는 지 눈높이 설명을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점차 약속이라는 것도 인지 시키실 때가 되었습니다.다음에 언제 어느 때에 또 한개를 더 준다거나 약속을 하면서 손가락을 걸고 약속도 해 보면 좋겠습니다.이러한 모든 과정은 위협적이거나 강합적이 아닌 놀이를 한다는 생각으로 해 보시면 효과가 기대 이상 나올것입니다.때로는 엄마의 고충, 즉 어려움이나 힘든 부분을 우리 아이에게 고백하면서 도와달라고 하시면 우리 아이는 엄마가 힘들어 하는 표정을 읽고 또 엄마를 사랑하기 때문에 충분히 수용할 것입니다.주의 할 점은 우리 아이가 크게 울거나 소리치는 일에 민감하게 반응 하지 않도록 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무서운 놀이기구 극복하는 방법 알려주세요ㅜ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저도 여러번 놀이기구를 탓지만 그 때마다 생소한 느낌이들었습니다.너무 무서워 눈을 감고 탄 적도 있었습니다.그렇게 눈을 감고 내려 오고 나니 왠지 허전하고 재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래도 반복적으로 자주 놀이기구를 타면 조금씩 두려움에서 벗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우선 처음엔 혼자 타지 마시기 바랍니다.누군가 곁에 아니면 앞,뒤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자신감이 붙습니다.다음으로 반복적으로 이용 해 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어느 순간 별것 아니다라는 느낌이 들 것입니다.세번째로는 가능하면 맨 앞이나 뒤는 피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중간 쯤이면 기울기나 요동함도 조금은 덜하니까 훨씬 안정적으로 즐길 수가 있습니다.즐겁고 신나고 멋진 하루를 만드시길 바랍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착불이라는 단어가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 일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세대간의 차이 또는 문화, 교육의 차이가 아닌가 합니다.한자를 배우거나 많이 접해 본 세대와 줄임말과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는 세대들간의 이해도의 차이가 아닐까합니다.물론 학생들은 학습에 의해 습득이 가능하겠지만서로 옳고 그름이 아닌 다름의 관계라 생각하면 서로 이해할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감기걸린아기 짜증이 너무 많아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년초에는 유치원에 들어 가서 적응한다고 힘들었을 거라 생각합니다.그리고 2~3개월이 지나면 꾀가 나기도 합니다.때때로 유치원에 가기 싫다고 하기도 합니다.게다가 우리 아이는 몸이 안좋아서 신경이 예민해진 것 같습니다.어른들도 몸 건디션이 안좋으면 예민해지고 만사가 귀찮고 짜증이 나는 것과 똑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어머님께서 힘이 들겠지만 그럴수록 우리 아이를 한번 더 안아주는 걸로 아이의 마음은 따뜻해지고 평안해 질 것입니다.하루 이틀 정도 쉬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충분한 영양 섭취와 그저 편안하게 자유롭게 하고 싶은 것을 하도록 해 주시는 것도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우리 아이와 눈높이를 같이 해 보시면 어떨까요?안아 줄 때는 " 사랑해, 사랑한다" 라는 말을 꼭 해 주세요.멀리 뛰기 위해 우리 아이는 잠시 한발짝 뒤로 물러 서 있다고 생각하시고 칭찬과 격려도 꼭 해 주시기 바랍니다.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어머님의 인내와 밝은 미소를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가 자꾸 단것만 먹으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일단 사탕 종류의 단 것을 무가당으로 바꾸시고초코렛은 다크로 바꾸면 좋겠습니다.사탕이나 초코렛을 줄 때를 정하시는 게 좋습니다.가령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갈 때 간식으로 하루에 1번 약속을 한다 거나긍정적 행동에 대한 상으로 정해서 제공하시길 권합니다.인내를 가지고 설득과 칭찬으로 일관성있게 나가면 학습과 습득이 빠른 아이들은 반드시 바뀔것입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자녀 용돈 교육은 몇학년부터 주로 시작을 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경제교육이라해서 아이들에게는 거창하게 시작하는 것이 아니니까 빠르면 빠를수록 괜찮다고 봅니다.요즘 부모님들이 영아나 유아때부터 아이를 위해 통장을 개설하고 적립식 적금을 들거나소액부터 주식을 구매하도록 교육을 시키는 분들도 있습니다. 시작은 부모님이 하셨지만 세뱃돈이나 생일 선물로 용돈을 받고 그 용돈으로 자신만의 통장에 쌓여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하면서돈을 어떻게 나누어 사용할지 스스로 고민합니다.돈을 언제 어떻게 사용하고저축이 왜 필요한지 이해만 한다면 용돈 기입장을 만들어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는 것도 꼼꼼한 기초 경제, 다시말해 돈의 개념과 이해를 돕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와 독서토론을 할때 선택 할수 있는 책은 어떤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우리 아이가 독서 토론을 하려고 한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토론이 일반적인 토론이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단순한 토론이 아닌 재미와 심미와 행복감, 그리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단 한번의 토론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조건들입니다.첫째, 어른의 기준으로 어떤 책을 선택할 것인지가 아니라 우리 아이가 가장 좋아하는 분야를 관찰이 필요합니다.둘째, 전해동화, 창작동화, 위인전, 사회과학,음악 미술 등등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합니다.세째, 관찰력과 탐구력을 위한 토론을 권합니다.예를 들어 공룡을 좋아하는 아이라면하나의 동물을 선택해서 초식인지 육식인지 또는 몸의 크기나 생김같은 것을 구체적이며 깊은 토론이 가능합니다.네째, 토론이 끝나면 함께 이야기를 해서 들거웠다는 말과 함께 칭찬을 잊지 마세요.그리고 다음에 이야기 할 책을 함께 미리 정해 두는 것도 잊지 마세요.응원합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노는게 중요하다고 하는데, 어느정도 놀이 시간이 필요한걸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애 아동심리상담사입니다.일반적으로 학교에 가면 많이 놀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학교 생활에도 규칙이 있기에 마음껏 놀 수는 없다고 봅니다.40분 수업에 10분 정도 쉬는 시간은 놀이 시간보다는 화장실 가기, 물 마시기, 다음시간을 위한 준비물 챙기기 같은 잠깐 동안의 시간 활용시간입니다. 그나마 놀이 시간이 있다면 점심 식사 후 20~30분 정도인데 우리 아이가 음식을 먹는 속도에 따라 그 시간은 차이가 있을 것입니다.귀가 후에도 아이들이 수행해야 할 과제가 많을거라고 봅니다. 지금의 우리 아이들은 과거의 아이들처럼 부모님이 부를 때까지 맘껏 놀수 있는 시간이 없다고 봅니다.제가 권하고 싶은 것은 과제 수행 이외의 시간은 마음껏 놀이를 하고 진짜 즐기는 시간을 갖도록 배려해 주시면 좋겠습니다.놀이는 그냥 노는 것이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한 놀이을 통해1. 협동심을 배우고체력증진을 할 수 있고두뇌의 회전 능력도 빨라질 수 있다고 봅니다.*잘 놀 줄 아이가 무엇이든 적극적이며 긍정적이라는 것도 잊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