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음악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악보의 빠르기 말은 어느 나라 말인가요?

음악 악보를 보면 빠르기를 뜻하는 용어가 있습니다. 독일어, 영어도 아닌데요. 러시아어인가요? 음악하면 베토벤, 모짜르트인데 그들의 나라인 오스트리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알고 쓰고있는 클래식음악의 용어는 대부분 이태리어로되어있다고합니다.

  • 튼튼한쏙독새88
    튼튼한쏙독새88

    안녕하세요. 김원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현대 대중음악은 영어 용어의 비중도 높은 편이나,

    고전음악에서 정립된 기본 음악 용어는 대개 이탈리아어입니다.

    또한 베토벤, 모차르트, 바흐등 업적을 이룬 작곡가는 독일 및 오스트리아 국적을 두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악보의 빠르기말은 대부분 이탈리아어 입니다.

    알레그레토. 모데라토. 비바체. 라르게토 등...

    그러나 작곡자가 누구냐에 따라 독일어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슈만의 경우 게슈빈디히까이트(바람이 불듯)

    제어 슈넬(엄청 빨리) 랑잠(느리게) 등 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알레그로, 안단테 등 빠르기를 나타내는 템포 표시는 전부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음악 용어입니다. 바로크 시대 때 이 용어들이 정착화되면서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보통 얘기되는 안단테, 안단티토, 아다지오 같은 것 들은 이탈리아말입니다. 자국나라말로도 각자 쓰긴 하지만 공통적으로는 이 이탈리어로 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