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8.21

조선 태종이 왕권강화를 위해서 한일은 무엇인가요?

태조 이성계의 아들로 왕자의 난 1차.2차를 일으켜서 실귄을 장악한 이방원이 태종에 올라서 약해진 왕권강화를 위해서 한일은 무엇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조 직계제를 시행 -보통 조선시대에는 6조에서 올린 안건들을 의정부가 논의해서 왕께 보고하는 의정부 서사제를 시행했는데 태종은 의정부를 배제하고 자신이 직접 6조의 보고를 받고 명령을 6조에 직접 하달하는 6조 직계제를 택함으로서 왕권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호패법을 실시하고 사병들을 철폐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종의 왕권강화 정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6조직계제를 시행하여 의정부의 권한을 축소했습니다.

    📍사간원을 독립시켜 신하간의 비판을 조장해 신권을 낮추고 왕권을 강화했습니다.

    📍의금부, 의례상정소를 만들어 왕이 직속으로 사법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구를 만들었습니다.

    📍유향소를 혁파하고 지방관을 파견하며 수령7사를 확립하는 등 지방통제를 강화하여 중앙집권체를 공고히하였습니다.

    📍사병을 혁파해 왕 외에 군사력을 갖출 수 없도록 하였습니다.

    📍 여러 정치적 숙청을 통해 외척, 종친 세력을 견제 및 억압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호패법을 실시하고, 무엇보다도 외척세력이라 할 수 있는 민씨들을 제거함에 따라(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등) 자기 뒤를 이을 세자(후의 세종)가 외척의 전횡 등에 시달리지 않고 선정을 베풀 수 있도록 한 것이 핵심적인 왕권강화 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단 사병 혁파가 있습니다. 왕족하고 대신들이 사적으로 부고 있는 사병을 아예 없앴습니다. 이 사병을 다른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게 그동안 왕권 약화에 큰역할을 해서 아주 얄짤없이 없앴다고합니다

    왕권강화에 대해 자세히 나와있는 링크 드리겠습니다

    https://namu.wiki/w/%ED%83%9C%EC%A2%85(%EC%A1%B0%EC%84%A0)/%ED%8F%89%EA%B0%80#s-1.1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제3대 임금인 태종은 왕권강화를 위하여 자신을 왕으로 추대하는데 전력을 다한 원경왕후의 동생들인 민무구 민무질 형제의 권력이 커지자 사약을 내려 죽였으며 사병을 혁파하여 왕권강화와 중앙집권화를 이루었고 의정부중심의 논의구조를 6조직계로 개편하여 왕이 나라의 모든 일을 알 수 있게 하였습니다. 호패법을 통해 왕이 백성들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태종은 세자에게 양위를 한다는 구실을 들어 신하들의 충성심을 시험, 민무구 , 민무질 형제는 태종의 양위 발표에 반대를 하지 않고 웃음을 지었다는 이유로 귀양을 가게 되고 , 귀양지에 있는 처남들에게 사약을 내립니다. 이는 외척의 권력을 무력화 한것입니다.

    또한 사병 금지 정책으로 국가 기본정책이 발전하게 되며, 유교교육을 위해 서당을 지어 유교 발전을 장려, 성균관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왕이 나라의 모든 일을 직접 챙기는 조선의 정치기구인 6조 직계제로 변화시켰습니다.

    또한 호패제도를 실시해 인구를 조사하고 파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