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10.24

나뭇가지에서 뿌리가 나오는 과학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떤 생명체든 심장의 역할을 하는 것들이

절단이 되면 죽음에 이르기 마련인데

나무들의 경우 뿌리가 심장의 역할을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뭇가지들을 땅에 심으면

나뭇가지의 절단된 면에서

다시 뿌리가 생기기도 하는데

나무들은 어떻게 가지에서도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것인가요?


나무들의 생명력이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의 뿌리가 자라 나오는 것은 세포분열과 연관이 있습니다.

    나무의 뿌리에는 분열이 될 수 있는 세포들이 있는 있으며 만들어지고 있는데 해당 부위가 잘리게 되면 다른 부위에 생장점 에서 세포를 계속 분열의 함으로써 뿌리가 자라 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의 유전적 성향인거죠. 나무는 가지에서 뿌리가 나오는건 생존과 관련해서 그리고 영양분이 가지쪽으로 쏠려 뿌리로 내려지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철연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의 뿌리는 우리 몸으로 바꿔 말하면 손톱발톱 이빨같은 위치에 있는 부분입니다. 그부분에서 수분과 질소를 흡수하는 중요한포인트 이기 때문에 식물의 심장이라고도 하죠 뿌리는 영양분 흡수뿐만아니라 식물의 고정 및 지탱해주는 근본인데요 뿌리를 넓게 멀리 뻗을수록 광범위한 영양분을 얻기 때문에 뿌리 깊은 나무가 오래살지요

    유기물의 에너지전환은 엽록소의 합성과 TCA사이클의 상관관계를 보시면 충분하실거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