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지혜로운사자35
지혜로운사자35

비오는 날에는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것 같은데 그게 습기가 많아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에숑

비오는 날에는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지 않는것 같은데 그게 습기가 많아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에숑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습기가 많은 비오는날에는 정전기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다른 이유가 있어보입니다. 비오는날에는 습도가 높습니다. 정전기는 습도가 낮은날 즉 건조한날에 발생합니다. 현재 몸상태도 중요합니다. 건조한 상태라만 정전지가 일어날수 있습니다 아니면 건물 내부가 건조해서 정전기 현상이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정전기가 많이 발생되는건 전자가 이동하지 못하고 머물러 있다가 이동할수 있는 물체등이 닿으면 그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발생됩니다. 그런데 비가 오면 공기중에 습기에 의해서 전자가 이동되기 때문에 머무르지 않아서 정전기가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전기는 건조한날에 많이 발생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비오는 날 정전기가 적게 발생하는 건 습기가 많아서입니다.

    습기가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해서 정전기 방전이 쉽게 일어나지 않게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정전기가 발생하는 주 원인은 건조한 날씨 때문인데요. 그렇기에 비오는 습한 시즌에는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비오는날에는 정전기가 잘 안생기는 것은 습기가 많아서 그런것입니다. 정전기는 공기중이 건조할수록 잘 생기는데, 그 이유는 건조한 공기에서는 전기가 잘 안 흘러서 몸에 전하가 쌓이기 쉬운 반면, 습기가 많으면 공기중의 물분자가 전하를 빠르게 방출시키거나 흘려보내줘서 정전기가 쌓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겨울처럼 건조한 날에는 정전기가 잘 생기고, 비오는 날이나 습한 여름에는 잘 안생기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비 오는 날에는 공기 중 습도가 높아져 수증기가 정전기를 띤 전하를 공기 중으로 쉽게 흘려보내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반면 건조한 날에는 전하가 축적되기 쉬워 정전기 발생이 잦아집니다 즉 습기 많은 환경은 전하의 누설을 도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비가 오는날에는 정전기가 일반적으로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는 습도에 영향이 크며 정전기가 어느 곳이든 물체에 쌓여 있더라도 수분을 통해 지면으로 방전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