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BassBaritonePark
BassBaritonePark

건빵의 이름이 마를 건에 스페인 빵이라는데?

건빵의 이름이 마를 건에 스페인 빵이라는데

어떤 유래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이집트에서 유래됐다고도 하는데 군대가 아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건빵은 일본에서 만든 것으로 알려져있다

      건빵의 원조격은 ‘비스킷’으로

      일본군이 비스킷을 개량해서

      건빵이 탄생한 것이다

      일본군은 개량을 멈추지 않고

      1894년 청일전쟁을 기점으로 더욱

      중소면포를 발전시킨다

      각고의 노력 끝에 1903년 러일전쟁이

      끝나면서 새로운 비상 전투식량을 개발했다

      새로운 음식의 이름은 ‘건면포’로


      마를 건(乾)에 면포는 빵이니

      우리가 아는 ‘건빵’의 등장이다.

      라는 답변을 구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의 비스킷이 일본에 전해진 후 변해서 지금의 건빵이 되었다고 합니다.

      동양에 비스킷이 처음 전해진 것은 16세기 전반입니다. 1534년 일본에 표류한 포르투칼 상선ㅇㄹ 통해 호밀 비스킷이 전해졌는데 낯선 음식을 본 일본인들이 쌀밥이 아닌 딱딱한 마른 빵을 식사로 먹는 사람을 보고는 무척이나 놀라워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에선 징병제를 실시하기 때문에 군대에서 자주 접할 수 있다. 한국전쟁 당시에는 장병 1인당 하루 1/3봉지인 80g이 지급되었는데, 이를 위해 사단별로 건빵을 만들어서 지급했다고 합니다. 사실 그 당시 국군의 주머니 사정상 증식이라기보다는 주식에 가까웠습니다. 1952년 초부터는 서울에 건빵공장이 세워져서 한국군의 수요를 충당하였다. 당시에는 실탄의 은어이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분없는 바싹 마른 구운 밀가루빵이라는 개념은 이집트의 두라처럼 예전부터 있었지만 현대 건빵의 원형격인 쉽 비스킷은 고대 로마시대에 개발된 것으로 밀이 주식인 유럽환경에서 긴 항해동안 배에서 두고두고 먹을수있는 식량으로 만들어졌으며, 영국의 하드택이 건빵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들어온 것은 일본의 근대기 일본 육군에서 만든 건면호로 일본 육군이 처음 비상식량으로 유럽식 하드택을 그대로 도입했다가 병사들의 불만에 직면, 이후 병사들의 기호에 맞추는 과정에서 개량되어 원판과는 달라진 것입니다.

      그러다 일본의 제과점에서 일하던 한국인 제빵사 이순택이 건빵을 만드는 법을 배웠고, 해방 이후 민간인에게 판매, 인기를 끌자 대한민국 군에서도 공급되어 건빵이 정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건빵의 어원의 유래는 마를 건에 빵을 쓴 것이 맞습니다. 즉 마른 빵이라는 의미 이지요. 건빵 모양은 2차 세계대전 무렵 일본군이 전투식량으로 개량한 것입니다. 일본군은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거치며 서양의 비스킷을 작고 간편하게 개량한 건빵을 만들어냈는데 덕분에 일본군은 북만주의 혹한에서부터 동남아의 열대지역에서까지 건빵을 보급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군대에서 먹는 건빵역시 여기서 유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