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가 좋은 기업이란 어떤 기업인가요?
우량주의 특징 중 하나는 '재무 상태가 좋은 기업'이라고 합니다.
'재무 상태가 좋은 기업'이란 어떤 기업인지, 어떻게 판단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재무상태가 좋은 기업은 자산과 부채, 자본의 구성인 '재무상태표'에서 상대적으로 유동부채가 적고, 자본 중 현금과 단기금융자산이 많으면서 이자보상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회사를 가리켜 재무상태가 좋은 회사라 칭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금영업이익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이 모두 플러스(+)를 기록하는 등 수익성의 질이 좋은 기업, 장단기 대여금에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지 않는 등 지배구조의 질도 긍정적인 기업, 총차입금에서 단기성 차입금의 비중이 없거나 적고, 매출채권에 거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지 않는 등 재무안정성과 운전자산의 상태도 좋은 기업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재무 상태가 좋은 기업이란 어떤 기업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재무상태가 좋다는 것은 현금 흐름이 확실하게 유지되고
이익 잉여금이 쌓이는 회사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매출, 순이익, 영업이익률 등 수익성 지표가 높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A(총자산이익률)도 중요한 지표입니다. 총부채가 총자산에 비해 적절한 수준인 기업.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재무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재무상태라고 하면 크게 두가지로 판단할것으로 보입니다. 현재의 재무상태가 자기자본위주로 되어 있어 차입금적은 재무상태가 안전한지를 판단하는게 있으며 반대로 기업의 사업성과가 좋아서 이익성과와 현금흐름이 우수한 측면입니다.
손익측면을 보자면 비즈니스가 구조가 매출액이 크게 변동성을 보이지않고 매출액성장률이 안정성을 보이느냐 매출원가율이 낮은 구조냐 아니면 원가율이 높고 박리다매형 사업구조냐 비즈니스를 체크하는것입니다.
이에 매년 영업이익률이 얼마나 일정하고 이부분이 높아질수있냐를 체크할 필요가 있으며 주식투자입장에서는 자기자본대비 이익률이 얼마나 높은지 이 부분이 항상 높게 유지될수있도록 주주환원율이 높거나 투자가 진행되어 향후 매출액이 크게늘어나는지 체크하는것입니다.
이외 재무상태로는 차입금 항목중 운영자본 차입금 항목이 늘어나거나 매입채무를 제외한 운영자본 단기차입항목이 크게 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게 우선입니다
단순히 단기차입금비율을 보게되면 매입채무 항목이 포함되는것을 제거해서 봐야하기 때문입니다. 매입채무는 외상거래에서 나타나는 항목으로 이 부분이 증가하는것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매출이 늘어나서 여기서 받은 매출대금으로 일부를 갚게하는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이말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사업이 잘되고 있는것을 방증하는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부분을 중점으로 체크해서 재무적으로 은행 차입금의 비율을 체크하되 시설투자목적은 향후 CAPA증가 목적이기 때문에 이 부분도 제거해서 보시는게 좋습니다.
운영투자목적으로 차입금이 지속증가하면 해당기업은 미래가 불퉁명하며 이로인한 이자비용증가로 순이익도 지속 감소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익측면과 재무적측면을 고려하는게 재무적안정적인 기업을 보는 측면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재무상태가 좋은 기업은
정답은 없으나
보통 부채비율이 적고
유동비율 등이 높은 기업들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재무 상태가 좋은 기업'이란 돈을 잘 벌고 빚이 적으며, 자산이 많은 기업을 말합니다. 이익이 꾸준히 나고 부채보다 자산이 많아야 하며, 돈이 잘 들어오고 나가는 현금 흐름이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이런 기업은 경제적으로 안전하고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특징들을 보고 기업의 재무 상태가 좋은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재무상태가 좋은 기업이란 회사가 지속적으로 성장 하기 위한 재무적 여건이 매우 튼튼한 회사를 말합니다. 보통 펀드멘탈 투자를 할 때 재무제표를 봐야 한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런 투자 할 종목의 재무상태를 보기 위함 입니다.
보통 이런 재무상태를 체크 할 때 "부채비율은 과도하지 않은지" "꾸준히 영업이익은 발생하고 있는지" "현금흐름은 좋은지" "배당은 꾸준히 잘 지급 하고 있는지" 이 외 많은 재무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지표들을 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재무 상태가 좋은 기업을 판단하는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익성 (Profitability)
영업이익률 (Operating Margin):
영업 이익을 매출로 나눈 비율로, 기업이 본업을 통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내고 있는지 판단하는 지표입니다.
순이익률 (Net Profit Margin):
순이익을 매출로 나눈 비율로, 전체 매출에서 최종적으로 얼마나 이익을 남겼는지 보여줍니다.
ROE (Return on Equity):
자본 대비 순이익을 나타내는 비율로, 주주가 투자한 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 평가합니다.
2. 유동성 (Liquidity)
유동비율 (Current Ratio):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단기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1 이상이 바람직합니다.
당좌비율 (Quick Ratio): 유동자산 중에서 재고자산을 제외한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더 엄격하게 단기 상환 능력을 평가합니다.
3. 부채 관리 (Leverage)
부채비율 (Debt to Equity Ratio):
총 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이 얼마나 타인 자본에 의존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이자보상배율 (Interest Coverage Ratio):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를 얼마나 충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4. 자본 효율성 (Capital Efficiency)
ROA (Return on Assets):
자산 대비 순이익을 나타내는 비율로,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평가합니다.
자산회전율 (Asset Turnover Ratio):
매출을 총 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매출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5. 현금 흐름 (Cash Flow)
영업활동 현금흐름 (Operating Cash Flow):
기업의 영업 활동을 통해 창출된 순 현금 흐름을 나타내며, 안정적인 영업 현금흐름은 기업의 장기 생존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자유현금흐름 (Free Cash Flow):
영업 현금흐름에서 자본적 지출(Capex)을 뺀 값으로, 기업이 내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나타냅니다.
6. 배당 성향 (Dividend Payout)
배당 성향 (Dividend Payout Ratio):
순이익 중에서 배당으로 지급된 비율로, 배당이 꾸준하거나 증가하는 기업은 재무 상태가 건강하고, 이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들마다 기준이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기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정적인 수익 구조
낮은 부채 비율
높은 자기자본 비율
충분한 유동성
높은 수익성
재무 상태가 좋은 기업이란 재정적으로 안정적이고 건전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이런 기업은 부채 비율이 낮아 타인 자본에 의존하지 않고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합니다.
현금 흐름이 안정적이어서 운영 자금에 여유가 있으며, 급작스러운 지출이나 투자 기회에도 잘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꾸준한 이익을 창출하여 주주들에게 배당을 지급하고, 사업 확장을 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자산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도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