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23.10.18

건물을 지을 때 사용되는 시멘트는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아파트나 주택을 지을때 사용되는 콘크리트에 중요한 것이 시멘트라고 하는데요.

이 시멘트는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우리나라에서 가장먼저 만든 회사는 어디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멘트란 토목과 건축에서 접합제로 사용되는 재료를 말합니다. 시멘트는 회색가루의 형태를 띄며 보통 진흙이 섞인 석회석을 주원료합니다. 여기에 소량의 석고를 넣어서 가루로 만든 것이 시멘트입니다. 시멘트는 주로 모래와 자갈 등과 혼합해 물에 반죽하면 우리가 아는 콘크리트가 됩니다. 시멘트가 제조되는 공정은 석회질 원료, 점토질 원료, 규산질 원료, 산화철 원료를 혼합 분쇄해 만들어진 조합원료를 소성로에서 소성해 클링커를 생산하고, 이 클링커에 응결지연제인 석고를 첨가하여 재분쇄합니다. 시멘트의 제조공정을 하나씩 살펴보면 대략 아래와 같은 순서로 만들어집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시멘트 회사는 1956년 시멘트 민영기업으로 삼척 시멘트(주) 설립하였고, 12월에 동양 시멘트에 합병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석회석을 통해 만든게 시멘트죠.


    시멘트 제조기술은 오래된 기술인데 석회석 즉 탄산칼슘과 모래(규산=SiO2) 그리고 점토

    nSiO2. yAl2O3. 를 원하는 비율로 적당히 혼합해서 약 1400도 정도로 가열하여 클링커를 만듭니다. 이때 탄산칼슘은 모두 산화칼슘이 되었다가 규산과 반응해서 규산칼슘으로 변합니다. 따라서 탄산칼슘을 시멘트원료로 사용하지만 이때 이산화탄소는 모두 공기중으로 나가기 때문에 이산화탄소포집과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며 시멘트공업은 다른 연소에 비해 이산화탄소가 훨씬더 많이 배출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멘트는 석회석, 점토, 규사, 석회질 슬래그, 플라이애시 등의 원료를 혼합하여 고온에서 소성하여 만든 건축 재료입니다. 시멘트는 물과 혼합하여 반죽하면 단단하게 굳어지는 성질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60년대부터 국가산업으로 육성되어 현대시멘트쌍용상회 한일시멘트 성신양회 고려시멘트 한라시멘트등이 설립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혜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멘트 생산을 단순하게 정리하면 광산에서 석회석을 채취하여 분쇄한뒤 석회,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섞어 가열하여 시멘트를 만듭니다. 우리나라에서 시멘트를 만든 최초의 회사는 삼척 시멘트로써 1956년 설립되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