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야장천 대신 주구장창이 더 많이 쓰이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구장창이라는 단어를 발음하는 게 더 쉽기 때문입니다.
모음을 비슷한 쪽으로 발음하려고 하는 모음조화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야장천이 옳은 표현 이며 주구 장창 이라는 말은 아예 없습니다. 그런데도 많이 쓰는 이유는 아마도 입에 착 달라 붙는 감칠 맛이 있어서가 아닐까 합니다. 떄로는 언어에 있어서 비속어가 혹은 사투리가 표준말 보다 더 많이 쓰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도 이런 경우에 해당 한다고 생각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야장천과 주구장창은 모두 같은 말이라는 점에서 출발합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주구장창이 더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주구장창은 현대 사회에서 보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주구장창이란 말은 뜻이 직관적이며, 많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친숙한 느낌이 듭니다.
또한, 주구장창은 사자성어로 분류되는 표현으로, 한글 교육 및 국어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한자 교육이 강조되는 국가인 한국에서는 특히 주구장창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야장천은 너무 길어서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빠르고 간결한 표현이 중요시되는 경향이 있어서, 주야장천보다는 좀 더 짧은 주구장창이 더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주야장천과 주구장창은 모두 동일한 의미로, 적과의 전투에서 적의 머리를 맞추기 위해 쓰이는 말이나 도구를 말합니다.
하지만 주구장창이 더 많이 쓰이게 된 이유는 다양합니다. 주야장천은 철기시대부터 사용되던 것이지만, 주구장창은 천하제일무술대회(全家最一武術大會)에서 선택된 일본검술인 카토 히로미츠가 중국에 찾아와서 가르치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주구장창은 기존의 주야장천보다 유효거리가 길었고, 이에 따라 맞추기가 더 쉬웠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채택되었습니다. 또한 일본과의 교류가 더 활발해지면서 일본의 무술 기술이 많이 수용되면서 주구장창이 더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주구장창이 더 많이 쓰이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말 사용 운동이 한참 발발하면서 어려운 한자 한문 보다는 우리말로 바꿀러고 하다가 그렇게 된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