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5

남반구와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현상인 오로라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지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우리 지구상에서 남반구와 북반구의 고위도 지방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현상인 오로라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인지 과학적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5.15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에서 발생한 태양풍은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지구 자기장을 일시적으로 왜곡시키고, 그 결과 지구의 자기장이 극지방 지역으로 편향되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태양풍으로부터 방출된 전자와 프로톤이 지구 대기권으로 유입되면서, 지구 대기권의 분자와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빛이 오로라입니다. 이때 분자와 충돌하는 전자의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데, 이것이 다양한 색상의 오로라가 발생하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풍에 의해 분리된 입자들, 즉 양성자, 전자, 헬륨이온 등이 지구 자기장에 의해 빨려 들어오면서, 지구 대기를 이루는 각종 산소와 질소 분자, 네온 원자 등과 부딪히면서 빛을 내는데, 이 광전 현상이 바로 '오로라 입니다

    이는 극지방에서만 보이며 구름이 없어야 관측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전자들이 지구의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이온화되어 전리층에서 광학적 현상을 일으킵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선들이 지구의 극지방 상공에서 높은 위도에 위치한 전리층의 고도 약 100 ~ 400 km 에서 볼 수 있는 빛나는 현상이 바로 오로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극지방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그 이유는 태양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태양풍이 지구의 자기장과 충돌하면서 발생합니다 태양풍이 지구로 향하면 지구의 자기장이 태양풍 입자들을 흡수하게 되며 이 입자들은 지구의 극지방에서 빛으로 발산하게 됩니다 이를 오로라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라의 현상 원리를 과학적으로 살펴보면 태양의 플라스마 때문이라고 합니다. 태양에서 플라스마 일부가 지구의 자기장으로 인해서 대기에 진입하게 되고, 지구의 공기와 반응하면서 빛을 발생시키는데 이때의 현상을 우리가 말하는 "오로라"라고 합니다.

    오로라는 지상에서 90 ~250km 상공에서 거대한 커튼처럼 펼쳐지는 모양을 하며 나타나는데요. 이러한 모습때문에 오로라 커튼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오로라를 보면 가장 아래쪽이 색이 밝고 위로 올라갈수록 색이 옅어지는데요. 사실은 위, 아래 모두 밝기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에 이끌려 지구에 들어오며 데기과 마찰하여 빛을 내는 광전 현상입니다.

    이런 플라즈마입자는는 태양에서 방출된 것이 대부분인데, 태양풍을 따라 지구로 불어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극지방의 대기로 진입하는 것입니다.

    오로라는 지상에서 90~250km 상공에서 대기의 입자와 반응, 거대한 커튼처럼 펼쳐지는 모양을 하며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는 빛이랑 열이랑 또 많은 입자들이 나오는데요.


    이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에 의해서 지구로 끌려옵니다.


    자기장은 북극이랑 남극에서 가장 강한데 그래서 입자들이 북극이랑 남극에 가장 많이 모입니다.


    이것들이 대기랑 충돌하면서 빛을 내는데 그것이 오로라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 속에 있는 전기성을 띈 플라즈마 입자가 지구의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면서 공기분자와

    충돌해 에너지가 빛으로 전환되는 현상입니다.

    태양풍은 태양의 흑점이 활발할때 강하게 나타나게 되는데요. 때문에 태양의 흑점과 오로라의 발생은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답니다.

    지구를 비롯한 대부분의 태양계 행성에서 극지방 가까이에서만[4] 오로라가 나타나는 이유는 자기장 때문으로,

    태양에서 날아오는 대전입자(태양풍)가 지구 가까이에 오면 대부분 지구 자기장 밖으로 흩어지지만, 그 중 일부가 밴 앨런대에

    붙잡혀서 북극과 남극으로 모이게 되며..이렇게 모인 입자들이 현재의 오로라 처럼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도움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불어오는 태양풍과 지구의 자기장이 충돌해 지구의 극지방에서 오로라가 보이게되는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