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경제로부터 자유을 꿈꾸다
경제로부터 자유을 꿈꾸다22.07.01

중3인데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할수 있을까요?

공부잘하는 아이의 성향은 자기만의 욕심..공부하는 목적, 지기싫어하는것등..공부에 도움되는 성향이 있을것 같은데.반면 열심히 할려는 마음은 있는데 행동은 따라하지 않고 욕심이나 그런것도 없는것 같아요..공부좀 하다가 휴대폰 보고, 휴대폰 못보게하면 다른거 하고..집중도 잘 안되고 공부에 맞는 성격이나 성향이 있을까요???가령 지각하는 학생은 늦게꺠우듯 일찍 꺠우등 늦게가고 중학교이상되면 자기주도적 공부가 되어야하는데 그러지 못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너무 부담을 주지 마시고

    우선은 30분 1시간 정도를 공부하는 시간으로 두시고

    그때 동안 만이라도 집중해서 하고

    그 이후에 쉬는시간을 넉넉히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휴대폰이 옆에 있으면 당연히 눈은 휴대폰으로 향하게 됩니다.

    집에선 휴대폰 지정 자리에 놓고 책상에는 절대 휴대폰을 놓지 않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이시군요.

    중학교 과목은 아직 기초가 잡히지 않았으면 심화과정을 배우거나 공부를 하는데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합니다

    시간적 체력적으로 무리하게 학원을 다니는 것은 공부에 대한 적대감만 유발할 뿐입니다

    공부의 본질은 독해입니다

    중하위권의 독해력으로는 아무리 열심히 공부해도 성적이 잘 나오지 않습니다

    독해력이 부족하면 교과서를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으며 다른 과목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영어도 수학도 그렇지요

    독해력을 키울려면 독서를 많이 해야 합니다

    아직 중학생이니 습관을 잘 들여서 매일 책 한권 정도 읽도록 추천드려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열심히 하려고 하는데 하지 않는다는것은 열심히 하려는 의지가 없는것으로 볼수있습니다.

    인지와 행동은 같이 움직이는것으로 볼수있는데 인지적으로 생각이있는데 행동이 따라주지 않는것은 있을수 없는일입니다.

    공부를 잘하는 아이의 성향은 자존감이 높거나 자신의 목표에 대한 책임감이나 목표의식이 있는것으로 볼수있습니다.

    자기주도적 공부는 아이가 왜 하지 못하냐에 초점을 맞추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아이가 못하는것은 안해봤기 때문입니다.

    내가 하지 않았던것에 대해서 하라고 하면 누구라도 할수가 없습니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고 싶다면 아이에게 자기주도적인 부분을 하나씩 할수있게 연습시키는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아이가 할수있는 것들에 목표를 세우고 스스로 달성하게 놓아두고 아이가 하지 않더라도 억지로 시키는것보다 어느정도 한계점을 정해주는등 커트라인 정도의 개입만 해주시는것이 좋으니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목표(장래희망)가 무엇일까요? 어느 대학에 진학하고 싶다는 욕심도 있을까요? 욕심은 있지만 목표 등이 부재한 상황에서 보여 질수 있는 모습입니다. 진로, 진학과 관련해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아보는것은 어떨까요? 요즘은 중학교에서부터 진로 및 진학과 관련된 컨설팅을 많이 해주고는 합니다. ^^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내성적이고 배려심 많은 아이를 외향적으로 바꾸려하기보다는

    그래로 존중하고 인정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가까운 부모님으로 부터 성향을 존중받을 때 비로소 자존감도 생기는 법입니다.

    아이의 작은 성취들에 늘 진심으로 큰 박수를 쳐주세요.

    객관적인 결과에 대한 칭찬이 아니라 소소하게 아이가 이뤄낸 모든 과정에 대해 박수를 쳐주시기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2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다수 아이들은 비록 부모 입장에서는 못마땅해 보일지 몰라도 그들만의 코드로 열정을 뽑아내 그 힘으로 공부를 합니다. 하고 싶은 걸 참고, 그 열정을 공부에 쏟아야 한다는 건 부모의 욕심일 뿐입니다.

    빠른 시간 안에 공부 살이 몸에 착 달라붙어 공부 근육이 되려면 공부 일정이 단순해야 합니요. 매일 시간별로 해야 할 것이 달라 그때마다 계획표를 봐야 한다면 헷갈려서 공부 습관으로 굳히기 어렵거든요. 습관으로 굳어진 시간을 ‘실천 기둥’으로 삼고, 그 시간을 응용해 공부 계획을 세워보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부를 잘하려면 마음과 의지가 먼저 있어야하고, 말씀하신대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도 갖추어야 하지요. 공부에 큰 마음이 없으면 원래 재미없는 공부가 하기 싫어지지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목표설정부터 결과평가까지 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인데요, 도전과제를 해결해가는 경험을 통해 쌓여갑니다. 일단 아이의 성취욕 고취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과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결과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 아직 공부하는 습관등이 잘 자리잡지 않은 경우에 이럴 수있습니다 무작정 공부를 강요하시는 것 보다는 먼저 아이가 목표를 생성하고 그 목표를 향해 추진력있게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