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왑이랑 팬텀지갑에서 국내거래소로 코인 이동
팬텀이랑 유니스왑에 국내미지원 밈코인을 담아놓았어요
제 생각에는 밈코인 최고치에서
이더리움이나 솔라나로 스왑한 뒤 솔라나에서 다시 usdc로
스왑하고 usdc평단이 내려갔을때 국내거래소로 이동한뒤
최종 원화로 변환할까 하는데요
좋은 생각일까요?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또한 유니스왑이나 팬텀에서
국내의 어떤 거래소로 이동하는게 좋을까요?
또한 코인이동시 해당 코인을
보유하고 있어야하나요?
예를들어 팬텀에서 코빗으로
솔라나를 이동할 때 코빗에
솔라나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지요?
제가 코린이라서
고수님들의 많은 아이디어와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처음 팬텀 지갑과 유니스왑을 통해 코인 거래를 시도했을 때 비슷한 고민을 했어요. 말씀하신 전략은 충분히 현실적이고 잘 설계된 방법이에요. 밈코인처럼 변동성이 큰 코인은 최고치에서 처분해 이더리움이나 솔라나 같은 메인 코인으로 스왑한 뒤, 스테이블코인인 USDC로 다시 변환하는 과정은 많은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방식이에요. 특히 USDC는 가격이 안정적이라 국내 거래소로 이동 후 원화로 전환하기 적합하죠.
다만, 이 과정에서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어요. 첫째는 스왑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비와 슬리피지입니다. 유니스왑은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스비가 높게 나올 수 있어요. 반면 팬텀 지갑은 솔라나 네트워크를 사용해 가스비가 저렴하지만, 스왑 시 발생하는 가격 변동(슬리피지)은 여전히 신경 써야 해요. 체결 전 예상 비용을 꼭 확인하고 진행하시면 불필요한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국내 거래소 선택도 중요한 부분이에요. 국내 거래소는 USDC를 직접 지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이동 전에 지원하는 코인(예: 이더리움, 솔라나, 비트코인 등)으로 미리 스왑하는 게 좋아요. 예를 들어, 팬텀에서 솔라나를 스왑한 뒤 코빗으로 보내는 건 좋은 선택이에요. 코빗은 솔라나를 지원하고, 비교적 수수료도 저렴한 편이거든요. 업비트나 빗썸 같은 대형 거래소는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으로의 입출금에 적합하니, 각 거래소에서 지원하는 코인을 확인하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또 하나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게, 해당 코인을 국내 거래소에 보유해야 입금이 가능한지 여부인데요. 그렇지 않아요. 예를 들어 팬텀 지갑에서 코빗으로 솔라나를 보내려면, 단지 코빗에서 솔라나의 입금 주소를 생성하고 이를 정확히 입력해 보내면 돼요. 다만 네트워크를 정확히 선택해야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요. 팬텀에서 보내는 경우 Solana 네트워크를, 유니스왑에서 보내는 경우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선택해야 안전하게 입금됩니다.
마지막으로, 조금 더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싶다면 소량으로 먼저 테스트 송금을 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지갑 주소나 네트워크 설정 오류로 인해 자산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거든요. 스왑 단계를 줄여서 수수료를 아끼는 것도 고려해 보세요. 예를 들어 밈코인 → 이더리움으로 바로 스왑한 뒤 국내 거래소로 송금해 원화로 바꾸는 방법도 충분히 가능해요.
결론적으로, 현재 계획은 잘 설계되어 있고, 안정적으로 자산을 관리하기에 적합해 보여요. 다만 스왑과 송금 과정에서 수수료와 네트워크 설정을 꼼꼼히 확인하고, 국내 거래소의 지원 코인을 미리 체크하는 게 핵심이에요. 처음이니 신중하게 접근하시고, 한 단계씩 진행하면서 익숙해지시면 더 자신감 있게 거래하실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