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박해 사건은 무엇이고 언제 일어났나요
안녕하세요 고종의 통상개화정책 이전에는 우리나라는 외국 문화나 종교에 보수적인 입장이었는데요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박해 사건은 무엇이고 언제 일어났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해박해사건이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도 박해 사건이라고 합니다.
1791년에 일어난 최초의 천주교도 박해사건입니다.
정조 15년(1791) 전라도 진산군의 선비 윤지충과 권상연 두 사람이 윤지충의 모상을 당하여 신주를 불사르고 가톨릭식 제례를 지냈다는 소문이 돌자 조정에서는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공ㆍ맹의 유교ㆍ유학을 숭봉해야 할 사림에 속한 사람으로서 정치와 제도의 위신을 손상시켰다는 것이 큰 문제였습니다. 더욱이 그 신도들의 대부분이 당시 집권파인 서인계통에 속하였기 때문에 문제는 더욱 심각하게 되었습니다. 조정에서는 진산군수 신사원을 시켜 두 사람을 체포, 심문하여 그들이 사회도덕을 문란하게 하고, 무부무군의 사상을 신봉하였다는 죄명으로 사형에 처하게 되니, 조선에 가톨릭이 전래 된 이래 최초의 순교자를 내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최초의 천주교 박해 사건은 1791년(신해년, 정조 15년)에 발생한 신해박해입니다. 이 사건은 전라도 진산의 선비 윤지충이 종교적 가르침을 지키고자 모친상을 천주교식으로 치른 후 제사를 폐함으로써 사회적 파장이 일어나고 당쟁으로까지 비화됨에 따라 발생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유박해는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 천주교 박해사건입니다. 시파ㆍ벽파의 정치투쟁에서 시파의 제거를 오랜 숙원으로 한 벽파가 천주교 탄압을 명분으로 일으킨 사건입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천주교의 최초 박해로는 1791년 신해박해이며 전라도 진산에 윤지충은 신주(神主)를 불사르고, 모친상에 위패없이 천주교식으로 장례를 치룬후 제사를 폐하였기에 발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