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공민왕과 노국대장공주에게 자식이 없었나요?

공민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된 우왕은 신돈의 첩이었던 반야와 공민왕 사이에서 낳은 아들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공민왕이 노국공주를 엄청 사랑했던 걸로 알고 있는데 둘 사이에 자식이 없었던 건가요?

노국 공주는 아이를 낳다가 죽은걸로 알고 있는데 아이도 죽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나무777
      나무777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민왕은 원래 여색을 좋아하지 않아 노국대장공주가 살아 있을 때에도 왕비의 침소에 가는 일이 매우 드물었다고 합니다. 노국공주와의 사이에서 아들을 얻지 못한 공민왕은 왕비가 죽은 뒤로 계비를 들이기도 하고, 혹은 신돈과 함께 불공을 드리며 축원하기도 했으나 후사를 얻지 못했고, 그 사이 공민왕은 신돈의 집에 자주 드나들다 신돈의 비첩인 반야라는 미인을 보고 총애하여, 1365년에 낳은 아들이 우왕입니다.

      노국 공주가 난산으로 죽고, 태중의 아이도 죽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슬에 비해 아이가 없었다는 것을 보아 상당한 난임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후에 공주가 난산으로 죽었다는 점, 공주 사후에 공민왕이 반야에게서 우왕을 본 것을 보면 공민왕보다는 노국공주 쪽이 난임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사에 따르면 공주를 시중들던 몽골인 내관 팔사불화가 최안도의 아들 최원에게 구타당하는 장면을 보고 유산을 겪은 적이 있는데 이후 상당기간 임신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던중 1364년에 드디어 아이를 가졌지만 다음해(1365년)음력 2월 16일 난산으로 인해 승하하는 비운을 맞게 됩니다. 노국공주 뿐만아니라 태중의 아이도 죽고 맙니다. 노국공주와 워낙 금슬이 좋았지만 10년 동안 아이가 없자 혜비이씨를 들였지만 역시나 또 아이가 없었습니다. 이후 노국공주 생전에는 후궁을 들이지 않았고 사후에 익비한씨 정비안씨 신비염씨 등은 후계자 문제로 들였지만 이들 중 혜비이씨는 공민왕 사후 불행한 삶을 살다가 비구니가 되었으며 그나마 반야에게서 유일한 소생인 우왕을 낳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사에 따르면 공주를 시중들던 몽골인 내관 팔사불화가 최안도의 아들 최원에게 구타당하는 것을 보고 유산을 겪었고, 이후 오래 임신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1364년 아이를 가졌으나 다음해 음력 2월 16일 난산으로 인해 승하하는 비운을 맞았으며, 태중에 있는 아이까지 세상을 뜨고 말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에게는 자녀가 있었고 공민왕과 노국공주 사이에서 가장 잘 알려진 아이는 후에 우왕으로 즉위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