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Y 델타 기동과 일반 직기동의 차이 및 안전성 질문

현장에서 장비를 운전하는 부분에서

모터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핵심 파트 입니다만

설비 쪽 전공이라

전기는 아예 모릅니다.

펌프 쪽의 모터부분에서

정상적으로 가동되도록 정해진 모터는 와이 델타 기동으로 선정되어 있고

정상모터가 에러로 작동불능 시

스페어로 설치된 모터는 직기동 으로 결선이 되어있습니다.

일단 와이델타 기동이 뭔지도 모르나

보통 와이델타는 첨에 시작하면 천천히 돌다가 팽~ 하면서 돌드라구요

그리고 직기동은 동작신호 가자마자 바로 팽!~ 하고 도는데요.

이게 모터에서 와이델타를 쓰는 이유가 따로 있는 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스페어로 된 모터가 직기동으로 결선되어 있다면서

이거 위험하다~ 고 작업자가 말슴하시던데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

어떤것이 안정적인지

왜 와이델타를 쓰는 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모터 기동 방식인 와이 델타 기동과 직기동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와이 델타 기동은 모터의 기동 전류를 줄여주는 방식으로, 초기 기동 시 전류와 토크를 줄여 모터와 전원 장비에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초기에는 와이(Y) 결선으로 저전류로 회전을 시작하고, 이후 델타(Δ) 결선으로 변경해 본격적으로 운영 전력을 가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처음에 서서히 시작했다가 기동이 완료되면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반면 직기동은 모터에 처음부터 전체 전압을 가하는 방식으로, 기동 토크가 커서 빠르게 회전 수에 도달하지만, 매우 높은 기동 전류를 요구하기 때문에 전기 설비에 큰 부하를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장비와 회로 보호를 위해 스페어나 보조 모터를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정격 전력이 큰 모터는 와이 델타 기동을 선호합니다.

    작업자가 스페어 모터의 직기동 방식이 위험하다고 한 것은 이런 높은 기동 전류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더 많은 전류를 필요로 하고 그만큼 전기적 부하와 마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긴 사용을 위해서는 와이 델타 기동이 더 적합할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와이 델타 기동은 모터가 시작 시 전압을 낮춰서 기동 전류를 줄이고 이후 정상 속도로 전화하여 모토에 부담을 줄여주느 방식입니다 직기동은 전압을 바로 전체로 인가하여 빠그레 회전하지만 높은 기동 전류로 인해 모터나 전원에 부담을 줄수 있습니다 와이 델타 기동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이유는 과도한 전류를 방지하여 모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Y-델타 기동과 직기동은 모터를 시작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Y-델타 기동은 처음에 낮은 전류로 모터를 천천히 가동시키기 때문에 초기 기동 토크는 낮지만 전류를 줄일 수 있어서 전원 및 모터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히 대형 모터나 전류 소비가 큰 장비에 적합합니다. 반면에 직기동은 모터에 바로 전체 전압을 공급하여 즉시 최대 토크로 운전하므로 강력한 시작이 가능하지만 순간 전류가 크기 때문에 전력 설비에 큰 부하를 줄 수 있고, 기계적인 스트레스가 증가합니다. 스페어 모터가 직기동으로 결선되어 있는 것은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작동하기 위함일 수 있지만, 모터와 기계에 대한 부담을 고려할 때 안전성 측면에서는 Y-델타 기동이 일반적으로 더 유리합니다. 작업자가 지적한 것이 이러한 초기 전류와 기계적 충격에 관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