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는 어떻게 물안과 밖에서 호흡이 가능할까요?
개구리는 물속과 밖에서 모두 호흡이 가능한데요.
양서류이긴해서 특별한 호흡체계는 아닐것 같은데 어떻게 호흡이 물속과 밖에서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개구리는 올챙이 시절에는 아가미가 발달합니다. 이 아가미를 통해 물 속에서 호흡을 하며 자라다가 다리가 자라나면서부터 폐가 발달하기 시작하고 성체가 되면 폐를 통해 공기를 호흡할 수 있습니다. 또 보조적으로 피부를 통해 호흡을 하기도 합니다. 피부호흡을 하기 위해서는 피부가 촉촉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개구리는 물 안팍의 생활이 모두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개구리는 불완전한 폐를 가지고있어 폐호흡의 효율이 좋지 않습니다.
대신 피부를 통해 직접 산소를 흡수하는 피부호흡이 발달되어 있습니다.
피부에 있는 수많은 모세혈관이 공기나 물속의 산소를 직접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피부가 촉촉한 상태여야 피부호흡이 가능하여 개구리는 주로 물이 많은 환경에서 발견됩니다.
수중에서도 피부호흡이 가능하지만, 이는 개구리의 모든 활동을 커버할 만큼의 산소는 얻을 수 없기 때문에 물 안에서만 살 수는 없으며 물 밖으로 나와서 산소가 더 많은 환경에서 피부호흡을 하고 폐호흡을 병행해야합니다.
개구리는 폐를 가지고 있어 물 밖에서 폐호흡이 가능하고, 피부와 구강의 점막을 통해서도 호흡이 가능합니다.
또한 어린시절에는 아가미를 통해 물속에서도 호흡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과 육지에서 모두 생존이 가능하여 양쪽에서 서식가능한 종류라는 뜻의 양서류라는 이름을 부여받았습니다.
개구리가 물 속과 밖에서 모두 호흡을 할 수 있는 원리는 피부호흡과 폐호흡을 하기 때문입니다. 개구리는 올챙이 시절에는 아가미에 있는 모세혈관을 통해서 물 속의 용존산소를 받아들이고 체내에서 발생한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아가미호흡을 하는데요, 올챙이에서 개구리로 변화하면서 아가미는 사라지고 폐호흡을 하게 되며 이와 함께 피부호흡을 하기 때문에 물 안과 밖에서 모두 호흡이 가능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개구리가 물 밖에서도 호흡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폐의 존재입니다. 올챌이 때는 아가미가 있었지만 개구리가 되면서 아가미는 퇴화하고 발달이 덜 된 폐가 남아있어서 폐로 호흡을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약간 헷갈려하시는 것 같습니다.!
양서류는 어류와 파충류 중간에 위치하는데 땅위나 물에서 살수있는 형태입니다.
보통 올챙이때는 아가미호흡을 하다가 , 변태하면서 다리가 생기고 아가미가 사라지며 폐호흡으로 바뀝니다.
하지만 어류와 파충류 중간에 애매한 위치에 있는 것처럼 이 폐호흡도 온전치가 않습니다.
신기하게도 이러한 부분을 메꾸기 위해서인지 개구리는 피부로도 일부 호흡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집니다.
표면이 촉촉할때 산소호흡이 충분히 이루어진다고 하네요.
결국 개구리는 물속에서 호흡하는 아가미가 있는 구조는 아니고, 매번 호흡하러 밖으로 나와야합니다.
개구리는 피부호흡과 허파호흡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물속과 물밖에서 모두 호흡할 수 있습니다. 물밖에서는 허파를 통해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쉬면서 호흡하지만, 물속에서는 피부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피부호흡을 합니다. 개구리의 피부는 촉촉하고 얇아서 기체 교환이 용이하며, 특히 뒷다리 부위의 피부에 많은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효율적인 피부호흡이 가능합니다. 또한 개구리는 아가미호흡도 할 수 있는데, 올챙이 시절에는 아가미로 호흡하다가 성체가 되면서 허파와 피부호흡 방식으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이런 다양한 호흡 메커니즘 덕분에 개구리는 육지와 물속에서 모두 생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