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

우리말 맙소사는 어떻게 해서 만들어진 말인가요?

우리말 아이구 맙소사 할 때 맙소사 라는 말을 가끔 듣거나 사용하기도 하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맙소사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진 말인지 잘 모르겠는데요 맙소사라는 말은 어떻게 해서 만들어진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맙소사’는 분명히 감탄사입니다. 그런데 감탄사는 그 단어를 더 이상 분석하기 힘든 것들이 대부분인데, ‘맙소사’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그렇다면 ‘맙소사’ 는 어떻게 분석되는 것일까 ? ‘맙-+-소사’나 ‘마 -+-ㅂ소사’중에 하나일 텐데, ‘-소사’ 와 같은 어미는 없고, ‘-ㅂ소사’ 는 ‘줍소사, 오십소사’ 등에서처럼 쓰이어 결국 ‘마-+-ㅂ소사’로 분석될 것 같다. 그렇다면 ‘마 -’ 는 무엇일까 ? ‘마-’는 ‘-ㅂ소사’ 와 통합되는 것이니까 동사임이 틀림없다. 그러나 ‘마다’ 라는 동사로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가 없다. 그도 그럴 것이 ‘마다’는 원래 ‘마다’가 아니라 ‘말다’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말다’는 매우 특이한 동사입니다다. ‘않다’와 함께 ‘부정’ 또는 ‘그만두다’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 두 동사는 그 사용 환경이 서로 상보적이다. 즉 ‘않다’가 쓰이는 곳에는 ‘말다’가 쓰이지 아니하고 ‘말다’가 쓰이는 곳에는 ‘않다’가 쓰이지는 않습니다. ‘말라, 말게’등은 동사의 뒤에 통합되어 ‘하지 말라, 하지 말게’등으로 쓰이는데 비하여 존칭에서는 ‘하지 마오, 하지 맙소서’처럼 동사의 뒤에 붙어 쓰일 뿐만 아니라, ‘마오, 맙소서’처럼 동사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동사의 명령형인 ‘마오, 맙소서’ 등이 감탄사로 변화하게 된 동기가 된다고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맙소사는 현대어의 "마옵소서/맙쇼셔(마십시오)"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맙소사는 원래 우리말에는 없던 말인데 현대어의 "마옵소서/맙쇼셔 (마십시오)"에서 비롯된 말인데 감탄사로는 19세기쯤부터 쓰였다고 합니다. 맙소사의 직접적인 의미는 신에게 '이렇게 하지 마십시오.' 하고 간청하는 것이다. 맙소사의 어원 영어로는 Oh my god, Oh my goodness 에 해당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