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시옷 현상의 적용, 비적용 예시 단어는 어떤게 있을까요?
사이시옷 현상의 적용, 비적용 예시 단어는 어떤게 있을까요? 어느 경우에 적용되는 것인지와 예문, 예시단어를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사이시옷 현상은 두 명사가 합쳐져서 합성어를 이룰 때, 사이에 'ㅅ'소리가 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 현상을 맞춤법에 반영해 표기하는 것이 사이시옷 표기법입니다.
※ 사이시옷 현상 적용 조건
1. 합성어여야한다
: 단어가 두 개의 명사로 결합한 합성어여야 하며, 단일어나 파생어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2. 음운 현상이 발생할 것
-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로 끝나는 경우
예) 바닷가(바다+가 → 바닷가), 기왓장(기와+장 → 기왓장)
-뒷말의 첫소리 'ㄴ'이나 'ㅁ'앞에서 'ㄷ'이 'ㄴ'ㅇ,로 교체되는 경우
예) 아랫니, 빗물, 잇몸
-'ㄴ'이 덧나는 경우(ㄴㄴ으로 발음)
예) 나뭇잎, 깻잎, 뒷일
3. 한자어+한자어 합성어에는 적용하지 않는다(예외 6가지 단어 제외)
-예외 6가지 단어: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 사이시옷 현상 적용 예시 단어
-고유어 합성어: 바닷가, 기왓장, 꽃잎, 밭두렁, 부싯돌
-순우리말+한자어: 기댓값, 절댓값, 햇수, 전셋집, 이랫방, 윗방, 탯줄
-예외 한자어 합성어 6가지: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 사이시옷 현상 비적용 예시 단어
-한자어+한자어 합성어(6가지 예외 조항 제외): 학교, 회의, 경제, 시회 등
-파생어: 해님('-님'은 접미사이므로 사이시옷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어기가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일 때: 보쌈, 아래팔
-음운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뒤의 단어 첫 소리가 된소리가 아니거나 'ㄴ'또는 'ㅁ' 앞이 아닌 경우
※ 예문
1. 사이시옷 적용
-바닷가에 모래가 많다
-기왓장이 오래되었다
-숫자가 많다
2. 사이시옷 비적용
-학교에 갔다
-회의가 길어졌다
-보쌈을 먹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