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은 창문을 구분하지 못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인터넷에서 새들이 창문에 부딪치는 영상을 본 적이 있는데,
새들은 창문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창문에 부딪히는 건가요?
새들은 창문을 구분하지 못할까요?
새들이 창문에 부딪히는 주된 이유는 창문을 장애물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많은 새들이 창문이 투명하거나 반사되는 표면을 실제로 통과할 수 있는 공간으로 착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몇 맹금류를 제외한 조류들은 눈이 측면에 달려 있어서 정면의 유리창을 보기 어렵거나 유리창과의 거리를 가늠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유리창이 있어도 거침없이 날아가 부딪히게 되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예, 창문이라고 하는 투명한 규소 집합체는 인간이 만들어낸 물질로 자연상태에 존재하지 않으니 새의 입장에서는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새들은 빠른속도로 날아다니면서 눈앞의 투명한 유리를 식별하기 어려울뿐만아니라, 식별하더라도 이미 빠르게날고있어 제동하기어렵기때문에 그대로 부딪히는일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과학전문가 이상현입니다.
빠르게움직이고있는 상황에서는 투명한창문을 지하기 어렵기때문에 부딪히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새 충돌방지를위한 마스킹구조등을 설치하기도합니다.
새들은 일반적으로 유리와 같이 투명한 재질을 잘 인지하지 못합니다.
비행중 이를 인지하더라도 속도를 줄이기에는 부족한 시간이라 유리창이나 방음벽에 부딛히게 됩니다.
최근에에는 새들이 이런 투명벽을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충돌을 막기위해,
방음벽의 유리에 일정간격의 점을 표시하여 새들이 벽을 인지하도록 설비를 바꾸고 있습니다.
새들이 창에 충돌하는 사고는 주로 봄과 가을철 이동기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그리고 번식기가 되면 자신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창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침입자로 착각하고 부딪히는 것입니다. 또한 주변에 나무가 있거나, 새가 가고픈 식생이 있는 곳이 유리에 반사되면 이를 숲으로 인식하고 충돌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