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공사를 할때 보면 전기선의 색깔을 다르게 하는 이유가 뭔가요?
우리가 전기 공사를 할때 보면 전기 선들을 보면 검정색이나 빨간색 파란색 등등
여러가지 색을 볼수가 있는데요.
왜 이렇게 전기선은 색을 구별을 해서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선의 색깔을 다르게 하는 이유는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각 색깔은 특정한 기능이나 역할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전기 작업 시 혼동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색상 구분은 전기 기술자들이 작업할 때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전기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전선마다 입출력 전류, 신호 등이 달라서, 구분을 하기 위해서 색을 달리하여 구분하는 것입니다.
각 전선의 색깔은 한국전기설비규정에서 정한 규칙을 따릅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전기선 색깔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네요! 공사할때는 전기선구분을 하셔야합니다. 가정집으로 들어가는 전기는 단상 교류 220v입니다. 단상 교류에는 이해하기쉽게 총 3가지 선이 들어가는데 핫선 중성선 접지선입니다. 이중에서 실제로 전기가 흐르는 선은 핫선이며 보통 검은색 사용하지만 갈색,회색사용하는경우도 있습니다. 3상4선식 선중에 상들선이 갈색 흑색 회색이기 떄문입니다.
그리고 중성선은 흰색을 주로 사용하고 접지선은 녹색을 주로 사용합니다. 선구분 하는이유는 작업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지만 작업에 대한 안전 그리고 실제 사용하는 이용자들에대한 안전에 떄문입니다. 추후에 리모델링이나 전지작업이 있을때 핫선 중선선 구분으로 안전을 판별할수있고 접지선은 기계보호나 감전예방이 필수적입니다.
제 답변이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이는 전기 설비와 관련된 국제 표준 및 나라별 규정에서 전선의 색깔을 용도에 따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한국전기설비규정에서 전선의 색깔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감전 사고 예방과 오배선 방지를 위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전기선의 색을 구별해 두는 이유는 쉽게 식별해 작업하기 위함입니다.
검은색은 전기를 내보내는 전력선이며 빨간색은 활선입니다. 두 전선은 전류가 흐르는 것이며 흰색은 안전상 흐르지 않는 선을 의미합니다.
녹색, 노란색은 접지선입니다.
색깔로 전기작업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히기 위해 구분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선에 색을 다르게 입히는 이유는 각 선의 역할을 쉽게 구분하여 시공이나 유지보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검정 빨강 파랑은 보통 상선 흰색은 중성선 초록이나 노란 초록 줄무늬는 접지선으로 쓰이며 이는 전기 회로의 정확성과 감전 사고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표준화된 색상 구분은 전기 기사나 기술자가 혼선을 줄이고 작업의 신속함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