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정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경제학에서 보는 인구배당 인구보너스가 정확히 어떤 모형이고 무엇을 말하는건가요?

경제학에서 나오는 용어나 설명중에서 인구배당이나 인구보너스가 나오는 인구 모형이 있다고 하던데요

정확히 어떤 인구모형을 말하는것이고 그리고 이용어가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 부양률이 감소하고 경제성장이 촉진되는 효과.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경제학에서 인구배당(demographic dividend)이나 인구보너스(population bonus)라는 용어가 나오는 인구모형은 '인구변천 모형'을 말합니다.

    인구변천 모형이란 출생률과 사망률의 변화에 따라 인구 연령 구성이 변화하고, 이것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모형입니다.

    구체적으로, 출생률 저하로 인해 유소년 인구는 줄고, 생산가능 인구는 늘어나는 시기가 옵니다. 이는 '인구배당'이나 '인구보너스' 기간이라고 합니다.

    이 시기에는 부양비 부담이 줄고, 노동력 상대 공급이 늘어나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은 1970년대 후반 ~ 1990년대에 이러한 인구배당 기간이 있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배당효과는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 부양률이 감소하고 경제성장이 촉진되는 효과를 말하며 인구보너스는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 인구 비율이 늘어나면서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는 현상을 말하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배당 (Demographic Dividend)은 생산 가능 인구의 증가에 따라 부양률(14세 이하 및 65세 이상 인구와 비교해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몇 명인지를 보여주는 수치)이 하락하면서 경제 성장이 촉진되는 효과를 뜻하는데 이것은 인구 보너스 효과 라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배당이란 전체 인구에서 생산가능 인구 비율이 늘어나면서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더 많은 이들이 노동시장에 참여해 생산이 늘면서 사회가 생계를 책임져야 할 고령층 비율이 줄어들게 되면서 저축률이 증가해 경제성장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 모형 중 하나인 "인구배당 모형"은 인구 증가율이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는 모델을 가리킵니다. 이 모델에서는 인구가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므로 인구 증가율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에 따라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인구배당이라고 합니다.

    반면 "인구보너스"는 인구 모형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로, 인구 증가율이 감소하는 모델을 가리킵니다. 이 모델에서는 인구가 증가하더라도 증가율이 감소하므로 인구 증가율이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인구가 증가하더라도 증가율이 감소하여 인구 증가율이 줄어드는 현상을 인구보너스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