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길이빛나
길이빛나

뇌에서 무의식의 영역은 어디에서 담당하나요??

안녕하세요!!

사람의 뇌 작용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크게 나눌수가 있잖아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깨어있을때는 뇌의 의식적인 사고활동이 크게 작용을 하는것같은데요..

그게 대뇌피질에서 일어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무의식의 사고 작용은 어디 뇌 영역에서 담당하는 것인가요??

어디선가 듣기로는 빙산의 일각처럼 무의식이 의식보다 훨씬 더 크게 작용한다고 하더라구요..

상세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간단히 말해서, 뇌의 특정 부위가 무의식을 '담당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무의식은 뇌 전체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특정 뇌 부위가 무의식적인 처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부분들은 있습니다.

    변연계는 감정, 기억, 동기 부여 등과 관련된 부위로, 무의식적인 감정 반응이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편도체는 공포나 불안과 같은 감정을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저핵은 운동 조절, 습관 형성, 의사 결정 등에 관여하며, 무의식적인 습관이나 자동화된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뇌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하며, 무의식적인 반사 작용이나 생리적 기능 조절에 관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부위들이 무의식을 완전히 설명하는 것은 아닙니다. 뇌는 매우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의식적인 처리 과정은 다양한 뇌 부위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무의식의 영역은 주로 대뇌 피질의 하부에 위치한 뇌의 일부인 피질하부와 뇌간의 일부인 뇌간에 담당됩니다. 피질하부는 감정, 기억, 본능, 욕구 등을 조절하며, 뇌간은 생리적인 기능과 자발적인 운동을 조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의식적인 사고와 인지 활동은 주로 대뇌피질에서 발생합니다. 대뇌피질은 감각 정보 처리, 논리적 사고, 문제 해결, 언어 이해 등 고차원적인 인지 기능을 담당합니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대부분의 활동은 대뇌피질에서 일어납니다. 무의식적인 활동은 특정한 한 부분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뇌의 여러 영역에서 협력하여 발생합니다. 기저핵은 습관적 행동, 자동화된 운동 조절, 그리고 학습된 행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는 것처럼 반복적으로 수행된 행동들은 무의식적으로 기저핵에서 조절됩니다. 편도체는 감정 처리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무의식적인 두려움 반응과 관련이 깊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우리가 즉각적인 공포 반응을 느낄 때, 이는 대개 편도체에서 무의식적으로 처리됩니다. 해마는 기억 형성과 관련이 있지만,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기억의 일부는 대뇌피질과 함께 해마에서도 처리됩니다. 해마는 특히 공간 기억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뇌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무의식적 기능(예: 호흡, 심장 박동)을 조절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의식적인 통제가 필요 없이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결론적으로, 무의식은 특정 뇌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뇌 부위가 협력하여 이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뇌의 소뇌(cerebellum)이 무의식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기능은 통합과 운동 근육의 조정 및 제어입니다. 감사합니다.

  • 무의식은 주로 뇌의 변연계와 뇌간에서 담당합니다. 변연계는 감정과 기억을 처리하며, 뇌간은 기본적인 생명 유지 기능을 조절합니다. 무의식은 이러한 깊은 뇌 구조에서 이루어지며, 의식적인 사고보다 훨씬 많은 정보 처리가 이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