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아리따운살모사282
아리따운살모사28224.04.14

현재 경제 악화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현재 경제가 좋지 못한 이유를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미국의 금리와 국제적 상황이나 여러 재료들의 금액 상승, 국가적 규제, 수출 비중 등 원인에 대해서 면밀히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한국 경제에 어떻게 작용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기준금리 차이가 너무나 크며

    더불어서 달러 강세로 인하여 이에 따라서 경제가 회복 중이나 좋지 않다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경제 악화의 주된 원인은 복합적입니다.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플레이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병목과 에너지/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고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가계 구매력이 약화되고 경기 둔화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2. 금리 인상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적극적인 금리인상 기조를 견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계부채 상환부담을 높이고 기업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에 부정적입니다.

    3. 지정학적 리스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무역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면서 글로벌 공급망 교란, 원자재 가격 상승, 투자심리 냉각 등의 영향을 미쳤습니다.

    4. 對러시아 제재

    서방의 대러 제재로 러시아 원유,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급 차질이 빚어지면서 에너지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5. 중국 경기 둔화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성장세 둔화도 글로벌 수요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대내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주요국의 경제성장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수출과 제조업 비중이 높은 한국 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금리가 5.5%로 매우 높은 상태에서 오랜기간을 유지하다 보니 글로벌 국가들도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를

      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 미국은 ai훈풍을 타고 기업들의 실적이 우상향하고 있어서 고금리 상황에서도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여주고 있지만

      미국을 제외한 고금리 경제에 놓인 국가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 있습니다.

    • 이 와중에 중동 전쟁까지 겹치면서 원유가는 앞으로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