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완강한발발이20
완강한발발이20

빈티지 소품 소싱하여 국내 판매 시 주의점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제가 창업을 하려고 하는데요.

지금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는

1. 빈티지 소품 구매해서 판매 (해외 및 국내)

2. 알리바바 등 해외에서 소싱해와서 판매 (해외 및 국내, 위탁판매 및 사입)

3. 국내에서 산 재료로 핸드메이드 소품 판매


이렇게 세 가지 정도 아이템을 취급하려고 하는데, 사업자 등록할 때 업태를 뭐로 해야하나요?


그리고 1번 취급 시 세관, 통관, 인증 등.. 판매에 문제가 있을 만한 부분이 있을까요?

생각하는 아이템으로는 주로 인테리어 제품이나 토이 입니다.

빈티지 제품의 경우 1개밖에 없는데 식기류의 경우 음식물이 닿기 때문에 들여올 때 안전인증을 받아야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인증 시험 시 제품을 부셔서 성분 분석도 하고 여러가지 시험을 한다고 하는데, 빈티지 제품의 특성 상 수량이 1개밖에 없어 이걸 어떻게 인증하는지, 어떻게 들여오는지 궁금합니다.

(보통 그릇, 화병, 컵 등 식기류, 장난감, 저금통, 화분, 책, 의류, 액세서리, 음반, 스티커, 문구류 등 캐릭터가 들어가는 소품류이고요. 또 전기안전인증이 필요할 수 있는 제품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건전지가 들어가는 제품이라든지, 콘센트에 연결하는 플러그가 있는 제품이라든지..)


또, 2번 취급 시 통관, 캐릭터취급 시 주의점 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해외에서 소싱해올 때 구매대행으로도 진행하고 싶고, 사입하여 판매도 하고 싶습니다. 이 때 사업자에는 뭐로 등록해야하며, 세금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통관의 경우 이걸 다 대신 처리해주는 업체가 있을까요? 비용은 얼마정도 들까요? 그리고 제가 실제로 해외에 가서 물건들을 셀렉하고 그걸 택배로 보내 한국에서 판매하고 싶은데 그럴 때 컨테이너로 들여올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그리고 그때 비용이나 통관은 어떻게 처리하는 지 알고 싶습니다.


3번 취급 시 국내에서 산 재료로 인형이나 수세미, 인테리어 소품, 가방 등을 만들어 판매하고 싶은데요. 어린이용 제품이 아니라고 스마트스토어에서 선택만 하면 재료에 대한 별다른 인증 없이 판매해도 되는건가요? 어린이용 제품이나 음식이 닿는 제품, 전기용품에 대해서는 인증이 필요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구를 이쁘게 리폼(?) 느낌으로 만들어 판매한다든지, 인형 재료를 사서 만들어 판매하는 등의 경우 인증을 받지 않아도 되는지 받아야한다면 어떻게 진행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먼저, 사업자 등록 시 업태는 "소매업"이나 "인터넷 쇼핑몰" 등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업태를 선택할 때는 사업의 주요 아이템과 취급하는 상품의 종류, 판매 채널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좋습니다.

    1번 취급 시 세관, 통관, 인증 등에 관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세관, 통관 관련해서는 관세법, 수입신고 등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인증 관련해서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안전성과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필요한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빈티지 제품의 경우, 단일 수량으로 인증 절차를 진행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입을 하기 전에 해당 제품의 인증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번 취급 시 통관, 캐릭터 취급 시 주의점 등에 대해서는, 통관은 해외배송 업체나 전문 업체를 통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캐릭터 취급 시에는 해당 캐릭터에 대한 라이선스를 소유하고 있는지, 라이선스 관련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사업자 등록 시에는 소매업이나 인터넷 쇼핑몰 등으로 등록할 수 있으며, 세금은 사업자 등록 후에 납부하게 됩니다. 구매 대행이나 사입은 외부 업체를 활용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로 들여올 경우, 수입 관련 규정과 비용 등에 대해서는 수입업체나 전문 컨설턴트와 상담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3번 취급 시 국내에서 산 재료로 제작하는 경우에도, 해당 제품의 안전성과 위생성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증이 필요한 경우 관련 기관에 문의하여 필요한 절차를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스마트스토어에서 판매를 위해서는 스마트스토어의 판매 조건을 준수해야 하며, 해당 제품의 안전성과 위생성에 대한 인증 여부도 확인해야 합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